문체부  전경. 사진 제공=연합뉴스
문체부  전경. 사진 제공=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7일 서울 송파책박물관에서 ‘K-북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번 선포식에서는 출판계, 문학계, 도서관계, 서점계, MZ세대 독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K-컬처의 바탕은 책, 세계독자와 함께 도약하는 K-북’을 주제로 비전을 발표했다.

책과 관련된 현장 종사자들이 K-북의 비전과 발전을 이야기 나눈 이번 선포식에서는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외 다양한 책들의 해외 진출을 이끌어 온 홍순철 씨(BC에이전시 대표)가 K-북 번역과 수출에 대해 소개하고, 의정부시 도서관운영과 박영애 과장이 K-북 향유 기반인 도서관의 특화사례를 발표했다.

작가들에게 직접 이야기를 들어보는 K-북 콘서트도 이어졌다. 북튜버 김겨울(겨울서점 채널 운영자)이 진행을 맡고, 안데르센상 수상에 빛나는 그림책의 거장 이수지를 비롯해, 소설가 장강명, 시인 안희연, 편집장 겸 작가 엄지혜, 만화가 겸 국어학자 김슬옹 등 유명작가들이 패널로 참석했다.

문체부는 K-북이 K-컬처의 근본으로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세계 3대 문학상 수상을 위한 환경이 조성되도록 ‘4·F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미래(Future)에도 지속가능한 책, 콘텐츠 수출의 새로운 선두주자(First runner)로서의 책, 지역·사회환경·장애와 무관하게(barrier-Free) 모두가 누리는 책, 공정한(Fair) 창작생태계를 토대로 만들어진 책 등 네 가지 전략이다.

1인 출판, 지역출판을 포함한 중소출판사가 성장·도약할 수 있도록 콘텐츠 발굴, 도서 제작·유통, 이종 산업 확장, 경영관리 지원 등을 통합해 다년간 지원하는 등 영세한 출판사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한다는 방침이다. 웹소설 등 K-북의 새로운 확장 분야에서는 신진 인력을 양성한다. 웹소설 작가와 PD를 양성하기 위해 2023년에는 30명, 2024년에는 60명을 대상으로 지원사업을 펼치고 번역·감수 인력도 새롭게 지원한다.

문체부는 서울국제도서전(6월), 샤르자국제도서전(11월) 등 국내외 도서교류 행사를 계기로 해외 독자층을 넓히고, K-북 저작권마켓과 비즈니스 수출상담회(일본, 태국, 프랑스)를 개최해 K-북의 수출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출판 관련 IP 수출 상담도 지원한다. 아울러 전 세계 10여개국 재외 문화원을 중심으로 현지 독자 맞춤 교류행사를 진행하고, 수출역량 강화를 위한 수출전문인력 양성(120여명)도 지속 추진한다.

또한 해외 출판사 번역·출판지원을 확대하고, 영국, 프랑스, 일본 등 K-북이 활발하게 진출한 국가뿐 아니라 남미·중동지역 등 시장 잠재력과 수용도가 높은 국가들을 포함한 전략 지역(17개국)을 정해 맞춤형 번역을 지원한다. 국내에서는 지역별 특성을 살린 도서관을 건립·리모델링해 명소화할 수 있도록 컨설팅을 지원한다.

출판사들이 전자책의 기획 단계부터 장애인 접근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제작비를 지원하고 민간의 전자책 플랫폼 뷰어 접근성 개선으로 장애인의 편리한 독서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웹소설 분야 표준계약서를 신설해 구두 계약 등 잘못된 관행을 개선하고, 만화(웹툰) 분야에서는 출판, 전자책 발행, 웹툰 연재 계약서 등 기존 표준계약서 6종 전면 개정과 신규 제정을 추진한다.

문체부 박보균 장관은 “책은 상상력의 원천이고, K-컬처의 바탕이다. 장관 취임 후 현장 곳곳을 누비며 국민들이 글을 쓰고, 책을 발간하고, 다양한 책을 읽고 싶어 하는 강렬한 열망을 느낄 수 있었다”라며 “이에 부응하기 위해 출판·문학·도서관·콘텐츠 등 정책 부서가 원팀(One Team)이 되어 보다 촘촘하고, 짜임새 있게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키워드
#출판 #문체부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