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은 불교중앙박물관과 함께 금석문 탁본을 주제로 한 ‘불변(不變)의 기록, 10년의 두드림’ 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17일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문화재청이 불교중앙박물관과 전국의 금석문을 기록·보존하기 위해 2013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금석문 탁본 조사 사업’의 성과를 종합하고, 관련 연구와 활용 등에 대한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2013년 시범조사 때부터 지난해까지 10년 동안 해당 사업을 통해 불교 금석문 190점, 일반 금석문 518점 등 총 708점에 대한 탁본 조사를 마쳤으며, 이렇게 작업한 탁본들을 국립문화재연구원 누리집에 공개하고 있다.
올해는 국가지정문화유산인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보물),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보물) 등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는 서울·경기 남부 지역의 주요 금석문 총 75기를 대상으로 탁본 조사를 진행했다.
학술대회는 총 2부로 나누어 각각 6개의 주제 발표와 질의응답, 종합토론으로 진행됐다. 1부에서는 금석문 탁본 조사 사업의 성과 발표와 전망, 실상사 수철화상비와 무위사 선각대사비의 탁본을 통한 판독과 해석, 양평 이행원(李行遠) 신도비를 중심으로 한 조선시대 김생(金生) 집자비(集字碑) 연구를 통해 탁본으로 역사적 사실을 밝혀낸 다양한 사례를 살펴봤다.
2부에서는 금석문의 기본 정보, 사진, 판독문, 해석문 등을 제공하는 국립문화재연구원 금석문 DB 구축 현황과 방향, 탁본 조사 사업의 가치 제고를 위한 탁본의 시각적 예술성과 미래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탁본 조사 사업 결과물의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 방안까지 금석문 관련 전공자들의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정병삼 숙명여자대학교 역사문화학과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6명의 발표자가 금석문의 연구와 보존, 활용 등을 주제로 종합토론을 진행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금석문 탁본 조사 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금석문이 지닌 역사적·예술적 의의를 국민과 함께 나누고, 탁본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한 적극행정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세종시청서 단청·전각 전시…‘전통공예 체험교육 특별전’
-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천연기념물 기념행사 개최
- “교과서 속 국가유산, 이제 ‘문화유산 지식e음’서 만나세요”
-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도자기 가마터, 지도로 만난다
- 덕수궁서 만나는 브람스의 선율…‘석조전 음악회’
- ‘탈춤’의 전승 활성화 방안은…문화재청, 24일 학술대회
- 장인 손때 묻은 대패·자귀…한국전통건축 특별전
- 국립문화재연구원, 빛 활용한 연대측정 시스템 도입
- 왕세자의 집무공간 ‘경복궁 계조당’ 복원 기념 전시
- 증강현실로 복원된 ‘익산 미륵사 중문’…18일 시연
- 문화재청, ‘세계유산 해석설명 국제토론회’ 개최
- 창녕 관룡사·곡성 함허정 일원, 명승 된다
- ‘아태 수중문화유산 회의’ 광주서 개막…35개국 전문가 한자리에
- 문화재청, ‘학교 문화유산교육 공모전’ 우수사례 5편 선정
- 136년 전 경복궁 팔순 잔치, 증강·확장현실로 복원
- 천연기념물 ‘울진 성류굴’ 명문 조사현황과 과제는
- 한양도성박물관 ‘훈국, 도성을 쌓다’ 기획 전시
- 왜구 침입 알리던 여수~강화 봉수 16곳, 사적 지정
- 1550년만에 다시 쌓는 신라 공주묘…‘쪽샘 44호분’ 축조 시연
- 문화재청, 고도보존육성 심의위원 19명 위촉
- 국가유산산업 입법 방향은? 문화재청, 전문가 토론회
- 문화재청, ‘국가유산 정책포럼’서 전문가·청년 의견 청취
- 문화재청, 대한건축사협회와 업무협약 체결
- 수원박물관 ‘한국 여성 서화가 초대전’, 30일 개막
- 한·독 수교 140년 기념 특별전, 덕수궁 돈덕전서 개최
- 문화재청,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인증서 전달식 개최
- 나주 복암리유적서 관(官) 새긴 백제 기와·주거지 확인
- 유관순·방정환의 공통점은?…서울역사박물관 ‘낙이망우’ 전시
- 국립문화재연구원, 전통한지 5년 연구결과 담은 보고서 발간
- 연구자료 속 문화유산 사진, AI로 찾는다
- 美덴버박물관서 만나는 한국 분청사기…이건희 기증품 등 전시
- 국립중앙박물관, 올해 관람객 400만명…개관 이후 최다
- 부산 수능엄사·선광사 소장 불교서적 2건 보물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