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사진 제공=연합뉴스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사진 제공=연합뉴스

문화재청은 불교중앙박물관과 함께 금석문 탁본을 주제로 한 ‘불변(不變)의 기록, 10년의 두드림’ 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17일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문화재청이 불교중앙박물관과 전국의 금석문을 기록·보존하기 위해 2013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금석문 탁본 조사 사업’의 성과를 종합하고, 관련 연구와 활용 등에 대한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2013년 시범조사 때부터 지난해까지 10년 동안 해당 사업을 통해 불교 금석문 190점, 일반 금석문 518점 등 총 708점에 대한 탁본 조사를 마쳤으며, 이렇게 작업한 탁본들을 국립문화재연구원 누리집에 공개하고 있다.

올해는 국가지정문화유산인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보물),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보물) 등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는 서울·경기 남부 지역의 주요 금석문 총 75기를 대상으로 탁본 조사를 진행했다.

학술대회는 총 2부로 나누어 각각 6개의 주제 발표와 질의응답, 종합토론으로 진행됐다. 1부에서는 금석문 탁본 조사 사업의 성과 발표와 전망, 실상사 수철화상비와 무위사 선각대사비의 탁본을 통한 판독과 해석, 양평 이행원(李行遠) 신도비를 중심으로 한 조선시대 김생(金生) 집자비(集字碑) 연구를 통해 탁본으로 역사적 사실을 밝혀낸 다양한 사례를 살펴봤다.

2부에서는 금석문의 기본 정보, 사진, 판독문, 해석문 등을 제공하는 국립문화재연구원 금석문 DB 구축 현황과 방향, 탁본 조사 사업의 가치 제고를 위한 탁본의 시각적 예술성과 미래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탁본 조사 사업 결과물의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 방안까지 금석문 관련 전공자들의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정병삼 숙명여자대학교 역사문화학과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6명의 발표자가 금석문의 연구와 보존, 활용 등을 주제로 종합토론을 진행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금석문 탁본 조사 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금석문이 지닌 역사적·예술적 의의를 국민과 함께 나누고, 탁본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한 적극행정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문화재청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