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은 문화유산과 연계한 수업의 우수사례를 발굴·공유하기 위한 ‘2023년 학교문화유산교육 우수사례 공모전’의 우수사례 5편을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10월4일부터 11월3일까지 실시된 이번 공모를 통해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서 총 11편의 사례가 접수됐으며, 학교문화유산교육 심사위원회에서 사례의 적절성, 우수성, 효과성 등을 검토해 5편이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인공지능과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에 등재된 음악 관련 유산을 직접 연주해보고 탐구한 대구국제고등학교의 ‘세계문화유산 음악편-과거와 미래의 만남’, 지역의 문화유산을 이론학습과 현장답사로 탐구한 뒤 직접 문화유산 해설사로 활동하고 홍보자료를 제작해보는 대구남동초등학교의 ‘Inside 대구-대구의 공간과 시간 속으로’가 이름을 올렸다.
또한 화폐 속 문화유산에 대해 이해하고, 직접 선정한 문화유산이 담긴 화폐를 만들어본 파주 동패중학교의 ‘화폐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우리나라의 문화유산’, 안동하회탈춤을 주제로 이론과 체험학습을 영어수업 교과에 반영한 인천장아초등학교의 ‘세계 속 K-문화로 하나되는 우리들’ K-컬처 등 다양한 주제 아래 과거, 현재, 미래를 유기적으로 연결한 문화유산 교육과정을 제시한 부산중앙중학교의 ‘K컬처 기반 주제중심학습을 통한 우리문화유산 꽃 피우고 열매 맺기’ 등이 선정됐다.
문화재청은 문화유산교육에 대한 일선 학교의 관심을 제고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문화유산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난 2018년부터 복권기금 재원을 활용해 ‘학교문화유산교육 우수사례 공모전’을 실시하고 있다. 수상작은 사례집으로 제작해 문화재청 누리집을 통해 공개하고 홍보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며, 오는 12월6일 ‘문화유산교육 통합 연수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 ‘불변의 기록, 10년의 두드림’…금석문 탁본 조사 성과는
- 세종시청서 단청·전각 전시…‘전통공예 체험교육 특별전’
-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천연기념물 기념행사 개최
- “교과서 속 국가유산, 이제 ‘문화유산 지식e음’서 만나세요”
-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도자기 가마터, 지도로 만난다
- 덕수궁서 만나는 브람스의 선율…‘석조전 음악회’
- ‘탈춤’의 전승 활성화 방안은…문화재청, 24일 학술대회
- 장인 손때 묻은 대패·자귀…한국전통건축 특별전
- 국립문화재연구원, 빛 활용한 연대측정 시스템 도입
- 왕세자의 집무공간 ‘경복궁 계조당’ 복원 기념 전시
- 증강현실로 복원된 ‘익산 미륵사 중문’…18일 시연
- 문화재청, ‘세계유산 해석설명 국제토론회’ 개최
- 창녕 관룡사·곡성 함허정 일원, 명승 된다
- ‘아태 수중문화유산 회의’ 광주서 개막…35개국 전문가 한자리에
- 조선왕조실록·의궤 110년 만에 오대산 품으로
- 카카오엔터, ‘드라마·영화 공모전’ 수상작 11편 선정
- 136년 전 경복궁 팔순 잔치, 증강·확장현실로 복원
- 천연기념물 ‘울진 성류굴’ 명문 조사현황과 과제는
- 왜구 침입 알리던 여수~강화 봉수 16곳, 사적 지정
- 1550년만에 다시 쌓는 신라 공주묘…‘쪽샘 44호분’ 축조 시연
- 한국,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 선출
- 문화재청, 고도보존육성 심의위원 19명 위촉
- 국가유산산업 입법 방향은? 문화재청, 전문가 토론회
- 문화재청, ‘국가유산 정책포럼’서 전문가·청년 의견 청취
- 문화재청, 대한건축사협회와 업무협약 체결
- 한·독 수교 140년 기념 특별전, 덕수궁 돈덕전서 개최
- 문화재청,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인증서 전달식 개최
- 매장유산 진단조사비 지원 30억원→50억원 확대
- 나주 복암리유적서 관(官) 새긴 백제 기와·주거지 확인
- 연구자료 속 문화유산 사진, AI로 찾는다
- 문화재청, 김장문화 유네스코 등재 10주년 체험 행사
- ‘가야웹툰 공모전’ 최고상에 엄상흠·박정현 ‘명작’
- 국립무형유산원, ‘아리랑’ 역사 담긴 기록영상 공개
- 문화재청,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신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