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익산 미륵사 중문(中門)이 증강현실(AR)로 복원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오는 18일 익산 미륵사지에서 시민을 대상으로 ‘스마트글래스’를 통해 만나볼 수 있는 ‘익산 미륵사 중문 콘텐츠 시연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앞서 국립문화재연구원은 2020년 경주 황룡사 중문과 남회랑 권역을 증강현실로 디지털 복원했으며, 경주시는 2021년부터 황룡사지 방문객들이 해당 콘텐츠를 태블릿 컴퓨터를 이용해 체험할 수 있도록 운영해왔다.
이번에 새로 선보일 미륵사 중문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에는 기존 황룡사 콘텐츠 체험객들의 의견을 반영, 안경처럼 눈에 직접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글래스’ 장비를 추가함으로써 더욱 생생하고 편리한 체험이 가능하게 됐다.
시연회에서는 증강현실로 구현된 건축물과 직접 사진을 촬영해 전자우편으로 전송할 수 있고, 중문의 디지털 복원 과정과 건축부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또한 건축과정 만화 영상 관람, 증강현실 건축물에 4계절 배경 적용해보기 등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미륵사는 7세기 백제 무왕 때 창건된 사찰로 왕실의 안녕과 중생의 불도를 기원하며 건립됐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2008년부터 진행해 온 미륵사 고증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륵사의 동·서원 중문은 단층건물의 형태로, 중원 중문은 2층 규모의 평공포와 하앙구조의 두 가지 모습으로 구현했다. 콘텐츠는 2024년부터 본격 운영된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이번 시연회를 통해 수집한 관람객들의 의견을 토대로 미륵사 중문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가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국민이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보다 생생하게 체감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유산 복원·활용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문화재청, ‘세계유산 해석설명 국제토론회’ 개최
- 창녕 관룡사·곡성 함허정 일원, 명승 된다
- ‘아태 수중문화유산 회의’ 광주서 개막…35개국 전문가 한자리에
- 조선왕조실록·의궤 110년 만에 오대산 품으로
- 문화재청, 숭례문·첨성대 등 문화유산 점검결과 발간
- 전통·현대 어우러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종합공연 열린다
- 전북 마한문화 연구 성과 한자리에…9일 학술대회
-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기념행사
- 국립문화재연구원 신지영 실장, ICCROM 이사 선출
- 문화재청, ‘어린이·청소년 누리집’ 새단장
- 문화재청, 서울 태릉·강릉서 산불대응 긴급구조훈련 실시
- 권력 품었던 도성·왕릉은 어떻게 변해왔나
- “숭례문의 역사, 함께 들어요”…특별해설 프로그램 운영
- 왕세자의 집무공간 ‘경복궁 계조당’ 복원 기념 전시
- 국립문화재연구원, 빛 활용한 연대측정 시스템 도입
- 장인 손때 묻은 대패·자귀…한국전통건축 특별전
- ‘탈춤’의 전승 활성화 방안은…문화재청, 24일 학술대회
-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도자기 가마터, 지도로 만난다
- “교과서 속 국가유산, 이제 ‘문화유산 지식e음’서 만나세요”
-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천연기념물 기념행사 개최
- 세종시청서 단청·전각 전시…‘전통공예 체험교육 특별전’
- ‘불변의 기록, 10년의 두드림’…금석문 탁본 조사 성과는
- 문화재청, ‘학교 문화유산교육 공모전’ 우수사례 5편 선정
- 136년 전 경복궁 팔순 잔치, 증강·확장현실로 복원
- 천연기념물 ‘울진 성류굴’ 명문 조사현황과 과제는
- 왜구 침입 알리던 여수~강화 봉수 16곳, 사적 지정
- 국립문화재연구원, 전통한지 5년 연구결과 담은 보고서 발간
- 전통사찰 내 미허가 건축물 양성화…개정안 국회 통과
- 부여 관북리 유적서 칠피갑옷 출토…"백제 멸망의 혼란상 나타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