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전통건축 장인의 기술과 도구를 재조명하는 특별전이 열린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와 궁능유적본부는 오는 17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 박물관에서 (사)한국건축역사학회·(사)한국문화재기능인협회·한양대학교 박물관과 함께 ‘한국전통건축 : 장인의 힘, 연장의 힘’ 특별전을 공동으로 개최한다.
이번 특별전은 전통건축 분야의 장인과 도구에 관한 연구 성과를 종합하고, 그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기획됐다. 특히, 일제강점기 등을 거치며 변형되는 등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전통건축 장인들의 도구 실물과 실제 사용 영상을 관람할 수 있으며, 외래 도구도 함께 전시해 국내 도구와의 차이점도 확인할 수 있다.
‘전통건축 기술 연구’의 일환으로 장인의 도구, 치목 기법 등에 대한 조사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특별전을 통해 대목이 사용했던 대패, 톱, 자, 먹통, 자귀 등 총 51종 92건의 도구를 소개하며,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영상과 삽화, 책자 등도 함께 전시한다.
궁능유적본부에서는 ‘직영보수단’에서 사용해왔던 나무달고, 톱, 자귀, 와도 등 총 40여종의 전통건축 도구를 함께 전시한다. ‘직영보수단’은 1980년 창설 이후, 궁·능 보수현장에서 시급성이 요구되는 중·소규모의 보수·정비 업무를 매년 300여건을 담당하고 있으며, 목공·석공·미장공·단청공 등 총 27명의 기능인으로 구성된 문화재청 직속 전문 기능인 집단이다.
문화재청은 “이번 특별전을 계기로 앞으로도 전통건축 기술에 대한 기록보존, 학술연구뿐 아니라 전통 도구 사용 활성화 등을 위해서도 꾸준히 노력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 국립문화재연구원, 빛 활용한 연대측정 시스템 도입
- 왕세자의 집무공간 ‘경복궁 계조당’ 복원 기념 전시
- 증강현실로 복원된 ‘익산 미륵사 중문’…18일 시연
- 문화재청, ‘세계유산 해석설명 국제토론회’ 개최
- 창녕 관룡사·곡성 함허정 일원, 명승 된다
- ‘아태 수중문화유산 회의’ 광주서 개막…35개국 전문가 한자리에
- 조선왕조실록·의궤 110년 만에 오대산 품으로
- 문화재청, 숭례문·첨성대 등 문화유산 점검결과 발간
- 전통·현대 어우러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종합공연 열린다
- 전북 마한문화 연구 성과 한자리에…9일 학술대회
-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 ‘탈춤’의 전승 활성화 방안은…문화재청, 24일 학술대회
-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도자기 가마터, 지도로 만난다
- “교과서 속 국가유산, 이제 ‘문화유산 지식e음’서 만나세요”
-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천연기념물 기념행사 개최
- 세종시청서 단청·전각 전시…‘전통공예 체험교육 특별전’
- ‘불변의 기록, 10년의 두드림’…금석문 탁본 조사 성과는
- 빛의 벙커 ‘이왈종, 중도의 섬 제주’ 전시…12월 개막
- 문화재청, ‘학교 문화유산교육 공모전’ 우수사례 5편 선정
- 136년 전 경복궁 팔순 잔치, 증강·확장현실로 복원
- 천연기념물 ‘울진 성류굴’ 명문 조사현황과 과제는
- 한양도성박물관 ‘훈국, 도성을 쌓다’ 기획 전시
- 왜구 침입 알리던 여수~강화 봉수 16곳, 사적 지정
- 1550년만에 다시 쌓는 신라 공주묘…‘쪽샘 44호분’ 축조 시연
- 온오프믹스-엑시비션 허브 아시아, 국내 전시 이벤트 ‘맞손’
- 노들섬서 만나는 시각예술…신진예술가 공모작 전시
- 문화재청, 고도보존육성 심의위원 19명 위촉
- 백남준부터 첨단기술 신작까지…‘서울융합예술페스티벌’
- 수원박물관 ‘한국 여성 서화가 초대전’, 30일 개막
- 유관순·방정환의 공통점은?…서울역사박물관 ‘낙이망우’ 전시
- 국립문화재연구원, 전통한지 5년 연구결과 담은 보고서 발간
- 美덴버박물관서 만나는 한국 분청사기…이건희 기증품 등 전시
- 국립중앙박물관, 올해 관람객 400만명…개관 이후 최다
- 국립중앙박물관, ‘이건희 기증품’ 목록집 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