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오는 2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에서 ‘탈춤 전승의 다변화와 향유의 확산’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해 11월 ‘한국의 탈춤’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된 것을 계기로 탈춤의 보존·전승 현황을 파악하고, 창조적 계승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총 5명의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으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서는 탈춤 관련 연구자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탈춤 전승현장에서 탈춤의 미래를 고민해온 전문 연희자들이 함께 한다.
제1부에서는 탈춤의 전승현황을 파악하고, 창작방법 등에서 다양한 변화를 모색하기 위해 ‘탈춤 전승현황 파악을 통한 전승 다변화 논의(김형근, 전북대학교)’와 ‘선대 탈춤예인들의 춤 연행방법을 기반으로 한 창작방법론 모색(박인수,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순으로 발표가 진행된다.
이어지는 제2부에서는 전승현장의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한 탈춤 향유층의 확산 방안을 논의한다. ‘인류무형유산 등재 이후 탈춤 전승과 세계 속 탈춤을 위한 방안(신준하, 하회별신굿탈놀이 보존회)’, ‘기본무의 형성과 교육을 통한 탈춤 전승체계의 변천과정(장진규, 용인전통연희원)’, ‘탈춤의 대중화와 현대화를 통한 공연 다변화 모색(박용휘, 천하제일탈공작소)’의 순으로 발표한다.
주제발표 이후에는 허용호 경주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발표자들과 김신효(무형문화연구원), 권두현(미래문화재단), 문철훈(국립부산국악원), 김은희(한국예술종합학교), 김연정(경상국립대학교) 등 5명의 토론자들이 청중과 함께 자유롭게 종합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탈춤 전승의 다변화를 모색하고, 향유 확산 방법을 논의하는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인류공동유산으로서 탈춤 전승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길 기대한다. 앞으로도 무형유산의 가치를 발굴하고, 전승 현장의 목소리가 담길 수 있는 연구와 토론의 장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장인 손때 묻은 대패·자귀…한국전통건축 특별전
- 국립문화재연구원, 빛 활용한 연대측정 시스템 도입
- 왕세자의 집무공간 ‘경복궁 계조당’ 복원 기념 전시
- 증강현실로 복원된 ‘익산 미륵사 중문’…18일 시연
- 문화재청, ‘세계유산 해석설명 국제토론회’ 개최
- 창녕 관룡사·곡성 함허정 일원, 명승 된다
- ‘아태 수중문화유산 회의’ 광주서 개막…35개국 전문가 한자리에
- 조선왕조실록·의궤 110년 만에 오대산 품으로
- 문화재청, 숭례문·첨성대 등 문화유산 점검결과 발간
- 전통·현대 어우러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종합공연 열린다
- 전북 마한문화 연구 성과 한자리에…9일 학술대회
-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 삼일로창고극장, 마지막 ‘창고개방’ 24일 개최
-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도자기 가마터, 지도로 만난다
- “교과서 속 국가유산, 이제 ‘문화유산 지식e음’서 만나세요”
-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천연기념물 기념행사 개최
- 세종시청서 단청·전각 전시…‘전통공예 체험교육 특별전’
- ‘불변의 기록, 10년의 두드림’…금석문 탁본 조사 성과는
- 뮤지컬·퓨전 국악…영등포아트홀, 크리스마스 특별 공연
- 문화재청, ‘학교 문화유산교육 공모전’ 우수사례 5편 선정
- 홈리스의 싱어게인…‘제4회 달팽이음악제’ 30일 개최
- 136년 전 경복궁 팔순 잔치, 증강·확장현실로 복원
- 천연기념물 ‘울진 성류굴’ 명문 조사현황과 과제는
- 한양도성박물관 ‘훈국, 도성을 쌓다’ 기획 전시
- 서울무용센터, 입주예술가 4팀 신작 공개
- 왜구 침입 알리던 여수~강화 봉수 16곳, 사적 지정
- 1550년만에 다시 쌓는 신라 공주묘…‘쪽샘 44호분’ 축조 시연
- 한국,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 선출
- 문화재청, 고도보존육성 심의위원 19명 위촉
- 문화재청,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인증서 전달식 개최
- 문화재청, 김장문화 유네스코 등재 10주년 체험 행사
- 세계 속의 아리랑, 국악·재즈·클래식으로 만난다
- AR로 만나는 독립운동…화성시문화재단, 전시 개최
- 국립국악원, 무용단 신임 예술감독에 김충한 임명
- ‘국악 디지털 음원 활용 창작 공모전’ 대상에 윤제남 씨
- 국립무형유산원, ‘아리랑’ 역사 담긴 기록영상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