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샘 44호분 발굴조사 후 주요 시설 재현 모습. 사진 제공=문화재청
쪽샘 44호분 발굴조사 후 주요 시설 재현 모습. 사진 제공=문화재청

신라 공주묘인 ‘경주 쪽샘 44호분’의 축조 시연 행사가 개최된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오는 29일 경북 경주 쪽샘유적발굴관에서 ‘경주 쪽샘 44호분 축조 실험 착수보고회’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신라 왕족인 공주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쪽샘 44호분’은 2014년부터 발굴조사를 실시해 올해 조사가 마무리된 신라 돌무지덧널무덤이다. ‘천마총 발굴 50년 기념행사’의 일환인 이번 행사는 지난 10년에 걸친 ‘쪽샘 44호분’ 발굴조사와 토목공학·지질학 등 여러 학문과 협업한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신라 돌무지덧널무덤을 다시 쌓아보는 축조 실험의 시작을 알리는 보고회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발굴이 끝난 ‘쪽샘 44호분’이 있던 원래의 자리에 총 21단계인 무덤 축조과정 중 향후 2년에 걸쳐 시신과 부장품을 안치하는 단계인 11단계까지 고분을 다시 만들어 볼 예정으로, 이번 행사에서 시연하는 축조과정은 11단계 중 땅을 고르고 나무 기둥을 세우는 초기 1~4단계의 일부다.

행사에서는 무덤을 만들 곳에 땅을 평평하게 고르고, 고운 흙을 깔아 묘역을 마련하는 1단계, 말목과 끈을 이용해 봉분의 범위 등을 표시하는 2단계, 돌무지의 기초 시설인 나무 기둥을 세워 본격적으로 무덤을 만드는 3단계, 주인공과 부장품을 넣을 덧널을 만들 곳에 땅을 파 묘광을 설치하는 4단계까지를 공개 시연한다.

1·2단계 작업 이후에는 무덤을 본격적으로 만들기 전 수십 점의 토기를 깨뜨려 흩뿌리는 매장의례의 일부 모습도 시연할 예정이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정부혁신과 적극행정의 하나로 문화유산 조사·연구 과정을 지속적으로 공개하고, 다양한 학술행사를 통해 국민과 소통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문화재청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