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은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국가유산산업 진흥법(가칭)‘ 제정안 검토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국가유산기본법‘이 지난 5월 제정·공포됨에 따라, 국가유산산업의 개념을 정립하고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제정을 추진 중인 ‘국가유산산업 진흥법’에 대한 관계전문가와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입법 방향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이날 열린 토론회는 총 2개 발표와 종합토론으로 진행됐다. 김성태 숭실대학교 교수가 문화유산의 보존을 위한 유럽의 디지털 콘텐츠 활용 사례, 중국의 산업기술 개발 현황 등을 소개하며 ’국가유산산업 진흥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이어 정상우 인하대학교 교수가 국가유산 연구개발 결과의 보급과 활용, 산업화를 위한 국가유산 정보의 공개, 국가유산 산업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등 ’국가유산산업 진흥법‘의 주요 내용을 제안했다.
주제발표 이후 이은하 국가유산정책연구원장을 좌장으로, 고주환(한국문화재수리기술자협회 회장), 김지선(티엔엘 대표), 박상현(한국지능정보사회원 경영기획실장), 우운택(카이스트 교수), 이승주(무형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가 토론자로 참여하는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문화재청은 “다양한 의견을 적극 수렴해 ‘국가유산산업 진흥법’ 제정을 위한 앞으로의 정책 추진 방향을 점검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유산 산업화의 발전기반을 조성하고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문화재청
관련기사
- 문화재청, 고도보존육성 심의위원 19명 위촉
- 한국,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 선출
- 1550년만에 다시 쌓는 신라 공주묘…‘쪽샘 44호분’ 축조 시연
- 왜구 침입 알리던 여수~강화 봉수 16곳, 사적 지정
- 천연기념물 ‘울진 성류굴’ 명문 조사현황과 과제는
- 136년 전 경복궁 팔순 잔치, 증강·확장현실로 복원
- 문화재청, ‘학교 문화유산교육 공모전’ 우수사례 5편 선정
- ‘불변의 기록, 10년의 두드림’…금석문 탁본 조사 성과는
- 세종시청서 단청·전각 전시…‘전통공예 체험교육 특별전’
-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천연기념물 기념행사 개최
- “교과서 속 국가유산, 이제 ‘문화유산 지식e음’서 만나세요”
-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도자기 가마터, 지도로 만난다
- 문화재청, ‘국가유산 정책포럼’서 전문가·청년 의견 청취
- 문화재청, 대한건축사협회와 업무협약 체결
- 수원박물관 ‘한국 여성 서화가 초대전’, 30일 개막
- 한·독 수교 140년 기념 특별전, 덕수궁 돈덕전서 개최
- 군산 선유도 해역서 청동기 간돌검 등 유물 180여점 발굴
- 문화재청,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인증서 전달식 개최
- 매장유산 진단조사비 지원 30억원→50억원 확대
- 나주 복암리유적서 관(官) 새긴 백제 기와·주거지 확인
- 유관순·방정환의 공통점은?…서울역사박물관 ‘낙이망우’ 전시
- 남원 유곡리·두락리 고분군서 삼국시대 수혈식 석곽묘 확인
- 문화재청 “경주 지진 발생 관련, 국가유산 피해 없어”
- 한국문화재재단-SGC솔루션, K-문화상품 개발 위해 맞손
- 연구자료 속 문화유산 사진, AI로 찾는다
- 부여 관북리유적서 대형 건물지 확인…“백제왕궁 행사 공간 추정”
- 美덴버박물관서 만나는 한국 분청사기…이건희 기증품 등 전시
- 매듭장·주물유기장·양태장…경기도, 무형문화재 전승자 공모
- 글·그림으로 소통한 영조·정조…특별전 ‘탕탕평평’ 8일 개막
- 문화유산 보호 은관문화훈장에 김삼대자·김현곤 씨
- 문화재청, 국가유산 미래비전 선포식…6대 전략 공개
- '세종 불교 낙화법' 세종시 무형문화유산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