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주 복암리유적에서 백제 주거지와 기와 등이 추가로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4월부터 나주 복암리유적에서 추진 중인 발굴조사를 통해 마한의 도랑 시설을 확인한 데 이어 이번에 백제 주거지 2기와 백제 인장기와 등을 추가로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나주 복암리유적은 기원전 2세기부터 마한의 초기 생활유적을 확인할 수 있는 도랑시설과 백제 목간 등이 확인된 바 있다. 인근에는 사적인 나주 복암리 고분군과 금동신발이 출토된 정촌 고분 등 거대 고분이 위치해 마한의 중심지 중 하나로 추정되고 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조사를 통해 도랑 내부공간의 건축물 등 시설물을 확인하고자 했으나 후대에 경작 등으로 사라져 시설은 따로 확인하지 못했다. 다만 조사지역에서 백제 주거지와 인장기와가 확인돼 마한에서 백제로 넘어가는 시점에서도 여전히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인장기와는 백제 고도인 공주, 부여지역 외에도 지방에서는 고부(정읍)와 같은 오방성 지역이나 여수, 순천 등의 신라 접경지역에서 확인된 바 있으나 마한 중심지역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새롭게 확인된 백제 기와에는 ‘관(官)’이 새겨진 인장이 선명하게 찍혀 있다. 더불어 복암리 일대 고려시대 행정지명인 회진현의 관아에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는 ‘회진현관초(會津縣官草)’명이 새겨진 명문기와도 확인됨에 따라 마한에 이어 백제, 고려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동안 나주 복암리유적 일대에 관청 등 중요 시설이 자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30일 오후 1시 발굴현장을 공개할 예정이다.
- 매장유산 진단조사비 지원 30억원→50억원 확대
- 문화재청,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인증서 전달식 개최
- 군산 선유도 해역서 청동기 간돌검 등 유물 180여점 발굴
- 한·독 수교 140년 기념 특별전, 덕수궁 돈덕전서 개최
- 문화재청, 대한건축사협회와 업무협약 체결
- 문화재청, ‘국가유산 정책포럼’서 전문가·청년 의견 청취
- 국가유산산업 입법 방향은? 문화재청, 전문가 토론회
- 문화재청, 고도보존육성 심의위원 19명 위촉
- 한국,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 선출
- 1550년만에 다시 쌓는 신라 공주묘…‘쪽샘 44호분’ 축조 시연
- 왜구 침입 알리던 여수~강화 봉수 16곳, 사적 지정
- 천연기념물 ‘울진 성류굴’ 명문 조사현황과 과제는
- 136년 전 경복궁 팔순 잔치, 증강·확장현실로 복원
- 문화재청, ‘학교 문화유산교육 공모전’ 우수사례 5편 선정
- ‘불변의 기록, 10년의 두드림’…금석문 탁본 조사 성과는
- 국립문화재연구원, 전통한지 5년 연구결과 담은 보고서 발간
- 남원 유곡리·두락리 고분군서 삼국시대 수혈식 석곽묘 확인
- 문화재청 “경주 지진 발생 관련, 국가유산 피해 없어”
- 한국문화재재단-SGC솔루션, K-문화상품 개발 위해 맞손
- 부여 관북리유적서 대형 건물지 확인…“백제왕궁 행사 공간 추정”
- 조선 왕비 인장 ‘내교인’, 서울시 유형문화재 지정
- 바다서 건져 올린 보물 ‘닻돌’…연구보고서 발간
- 교과서 속으로 무형유산 체험 여행 떠나요
- 문화유산 보호 은관문화훈장에 김삼대자·김현곤 씨
- 문화재청, 국가유산 미래비전 선포식…6대 전략 공개
- 日서 환수한 고려 나전상자, 800년 베일 벗는다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고선박 연구성과’ 영문판 발간
- 부여 관북리 유적서 칠피갑옷 출토…"백제 멸망의 혼란상 나타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