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은 ‘창녕 관룡산 관룡사 일원’, ‘곡성 함허정 일원’을 국가지정유산 명승으로 지정 예고했다고 10일 밝혔다.
‘창녕 관룡산 관룡사 일원’은 신라시대 고찰로 알려진 관룡사와 그 뒤쪽에 병풍처럼 둘러진 기암괴석의 산봉우리 등 산세가 어우러져 수려한 경관을 이루고 있다. 또한 반야의 세계로 향하는 용이 이끄는 배라는 뜻의 ‘반야용선’을 재현한 듯한 불상인 용선대와 관룡사의 많은 불교 문화유산이 자연과 서로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경관적 가치를 지녔다.
‘곡성 함허정 일원’의 함허정은 조선 중기 문사 제호정 심광형(1510~1550)이 섬진강 일대 구릉지에 건립한 정자다. 함허정 일대는 풍수상 거북이가 용궁을 향해 입수하는 형국으로, 거북이의 등 위에 함허정이 자리하고 절벽 아래의 깊은 웅덩이인 용소와 구암조대라 불리는 하중암도가 있으며, 거꾸로 ‘용(龍)’자를 새긴 용암 관련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심광형의 증손인 구암 심민각(1589~1643)이 쇠락한 누정을 현재 위치로 옮겨 짓고 정자의 이름을 ‘호연정’으로 개칭했다고 전해지며,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쳐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창건 당시의 이름인 함허정으로 다시 불리게 됐다. 함허정은 국가민속문화유산 ‘곡성 제호정 고택’과 인접한 곳으로, 정자의 조영 기록과 문인들의 교류 흔적, 주변의 경관을 읊은 기문과 시문들이 전해지고 있어 역사·문화적 가치가 뛰어난 곳으로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창녕 관룡산 관룡사 일원’, ‘곡성 함허정 일원’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유산 명승으로 최종 지정할 계획이다.
- ‘아태 수중문화유산 회의’ 광주서 개막…35개국 전문가 한자리에
- 조선왕조실록·의궤 110년 만에 오대산 품으로
- 문화재청, 숭례문·첨성대 등 문화유산 점검결과 발간
- 전통·현대 어우러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종합공연 열린다
- 전북 마한문화 연구 성과 한자리에…9일 학술대회
-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기념행사
- 국립문화재연구원 신지영 실장, ICCROM 이사 선출
- 문화재청, ‘어린이·청소년 누리집’ 새단장
- 문화재청, 서울 태릉·강릉서 산불대응 긴급구조훈련 실시
- 권력 품었던 도성·왕릉은 어떻게 변해왔나
- “숭례문의 역사, 함께 들어요”…특별해설 프로그램 운영
- 국립무형유산원, ‘전통공예 창의공방’ 전시회 개최
- 자연유산 전통조경·명승의 미래는…3일 학술토론회
- 대한제국 독립 외교 거점…옛 주영 공사관에 표식 설치
- 증강현실로 복원된 ‘익산 미륵사 중문’…18일 시연
- 왕세자의 집무공간 ‘경복궁 계조당’ 복원 기념 전시
- 국립문화재연구원, 빛 활용한 연대측정 시스템 도입
- 장인 손때 묻은 대패·자귀…한국전통건축 특별전
- ‘탈춤’의 전승 활성화 방안은…문화재청, 24일 학술대회
-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도자기 가마터, 지도로 만난다
- “교과서 속 국가유산, 이제 ‘문화유산 지식e음’서 만나세요”
- 세종시청서 단청·전각 전시…‘전통공예 체험교육 특별전’
- ‘불변의 기록, 10년의 두드림’…금석문 탁본 조사 성과는
- 문화재청, ‘학교 문화유산교육 공모전’ 우수사례 5편 선정
- 136년 전 경복궁 팔순 잔치, 증강·확장현실로 복원
- 천연기념물 ‘울진 성류굴’ 명문 조사현황과 과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