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세자의 집무공간인 경복궁 계조당의 복원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린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한국문화재재단과 함께 오는 15일부터 다음달 18일까지 경복궁 계조당에서 ‘왕세자의 공간, 경복궁 계조당’ 전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계조당은 1443년 세종이 왕세자(훗날 문종)의 집무 공간으로 건립했으며, 문종은 이 공간에서 정무를 보거나 외국 사신을 접견했다. 문종의 생전 뜻에 따라 1452년에 철거됐으나, 1868년 경복궁 중건 때 다시 지어지면서 당시의 왕세자였던 순종이 사용했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완전히 철거됐던 것을 문화재청이 발굴조사를 거쳐 올해 9월 복원을 마쳤다.
경복궁 계조당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조선의 왕세자, 계조당의 왕세자, 왕세자의 의장, 동궁과 계조당 등 네 부분으로 구성됐으며, ‘조선의 왕세자’에서는 왕세자의 일상과 의례를 살펴볼 수 있다.
조선왕실에서 왕세자를 책봉할 때 거행했던 책봉례에서 임금이 왕세자에게 내리는 교명, 죽책, 옥인 등의 복제유물과 성균관 입학례, 성인식인 관례 등 왕실의 공식 의례 장면을 담은 그림으로 구성된 무인 단말기도 설치됐다.
전시와 연계해 동궁 권역과 전시를 해설을 들으며 관람할 수 있는 ‘왕세자의 일상’ 해설 프로그램과 3차원 측우기 만들기 체험도 진행된다. 해설 프로그램은 사전예약이 필요하며, 전시 관람과 측우기 만들기 체험은 기간 동안 누구나 예약없이 참여할 수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 계조당 복원 기념 전시를 통해 경복궁 복원의 의미와 계조당의 역사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길 기대하며, 앞으로도 복원된 궁궐 전각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증강현실로 복원된 ‘익산 미륵사 중문’…18일 시연
- 문화재청, ‘세계유산 해석설명 국제토론회’ 개최
- 창녕 관룡사·곡성 함허정 일원, 명승 된다
- ‘아태 수중문화유산 회의’ 광주서 개막…35개국 전문가 한자리에
- 조선왕조실록·의궤 110년 만에 오대산 품으로
- 문화재청, 숭례문·첨성대 등 문화유산 점검결과 발간
- 전통·현대 어우러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종합공연 열린다
- 전북 마한문화 연구 성과 한자리에…9일 학술대회
-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기념행사
- 국립문화재연구원 신지영 실장, ICCROM 이사 선출
- 문화재청, ‘어린이·청소년 누리집’ 새단장
- 문화재청, 서울 태릉·강릉서 산불대응 긴급구조훈련 실시
- 권력 품었던 도성·왕릉은 어떻게 변해왔나
- 국립문화재연구원, 빛 활용한 연대측정 시스템 도입
- 장인 손때 묻은 대패·자귀…한국전통건축 특별전
- ‘탈춤’의 전승 활성화 방안은…문화재청, 24일 학술대회
-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도자기 가마터, 지도로 만난다
- “교과서 속 국가유산, 이제 ‘문화유산 지식e음’서 만나세요”
-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천연기념물 기념행사 개최
- ‘불변의 기록, 10년의 두드림’…금석문 탁본 조사 성과는
- 빛의 벙커 ‘이왈종, 중도의 섬 제주’ 전시…12월 개막
- 문화재청, ‘학교 문화유산교육 공모전’ 우수사례 5편 선정
- 한국제교류재단, 서울서 ‘런웨이 싱가포르’ 전시
- 136년 전 경복궁 팔순 잔치, 증강·확장현실로 복원
- 천연기념물 ‘울진 성류굴’ 명문 조사현황과 과제는
- 왜구 침입 알리던 여수~강화 봉수 16곳, 사적 지정
- 노들섬서 만나는 시각예술…신진예술가 공모작 전시
- 백남준부터 첨단기술 신작까지…‘서울융합예술페스티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