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은 국가기관 최초로 문화유산 연구 분야에 특화된 광여기 루미네선스(OSL)를 이용한 연대측정 시스템(이하 ‘OSL 연대측정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15일 밝혔다.
OSL 연대측정법은 고고시료나 유물에 포함된 광물에 축적된 방사선량을 통해 대상물질이 햇빛 또는 열에 마지막으로 노출된 이후 경과된 시간을 밝힘으로써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토기, 기와, 석재 등 무기질 문화유산의 제작연대 또는 축조시기를 밝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고고학, 지질학 연구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동안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등 장비를 이미 보유하고 있는 기관과 공동연구를 해온 국립문화재연구원은 문화유산 분야에서도 해당 장비를 이용한 연구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번에 OSL 연대측정 시스템을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도입된 OSL 연대측정 시스템은 시료를 빛에 노출시켜 연대를 측정하는 광여기 루미네선스(OSL)와 시료를 가열해 연대를 측정하는 열 루미네선스(TL) 연대측정이 모두 가능한 장비다. 석영과 장석이 포함된 문화유산의 연대측정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루미네선스 신호를 이용한 연대측정 결과를 교차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문화유산이 출토된 토양에 대한 연대측정도 가능해 해당 토양이 퇴적돼 빛으로부터 차단된 시점이 언제인지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물이 대략 어느 시점 이후로부터 땅에 묻혀서 사용되지 않았는지 최후로 사용된 시기가 언제인지 등을 추정할 수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국가기관이 주도하는 문화유산 연대측정 연구 기반을 마련한 것을 계기로 앞으로도 연대측정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운영해 신뢰도 높은 분석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국민에게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왕세자의 집무공간 ‘경복궁 계조당’ 복원 기념 전시
- 증강현실로 복원된 ‘익산 미륵사 중문’…18일 시연
- 문화재청, ‘세계유산 해석설명 국제토론회’ 개최
- 창녕 관룡사·곡성 함허정 일원, 명승 된다
- ‘아태 수중문화유산 회의’ 광주서 개막…35개국 전문가 한자리에
- 조선왕조실록·의궤 110년 만에 오대산 품으로
- 문화재청, 숭례문·첨성대 등 문화유산 점검결과 발간
- 전통·현대 어우러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종합공연 열린다
- 전북 마한문화 연구 성과 한자리에…9일 학술대회
-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기념행사
- 국립문화재연구원 신지영 실장, ICCROM 이사 선출
- 문화재청, ‘어린이·청소년 누리집’ 새단장
- 문화재청, 서울 태릉·강릉서 산불대응 긴급구조훈련 실시
- 장인 손때 묻은 대패·자귀…한국전통건축 특별전
- ‘탈춤’의 전승 활성화 방안은…문화재청, 24일 학술대회
-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도자기 가마터, 지도로 만난다
- “교과서 속 국가유산, 이제 ‘문화유산 지식e음’서 만나세요”
-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천연기념물 기념행사 개최
- 세종시청서 단청·전각 전시…‘전통공예 체험교육 특별전’
- ‘불변의 기록, 10년의 두드림’…금석문 탁본 조사 성과는
- 문화재청, ‘학교 문화유산교육 공모전’ 우수사례 5편 선정
- 136년 전 경복궁 팔순 잔치, 증강·확장현실로 복원
- 천연기념물 ‘울진 성류굴’ 명문 조사현황과 과제는
- 왜구 침입 알리던 여수~강화 봉수 16곳, 사적 지정
- 1550년만에 다시 쌓는 신라 공주묘…‘쪽샘 44호분’ 축조 시연
- 국립문화재연구원, 전통한지 5년 연구결과 담은 보고서 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