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도자기 생산시설을 지도로 만나는 전시가 열린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전남 고흥군 분청문화박물관과 공동으로 16일부터 내년 11월30일까지 ‘분청을 기록하고 기억하다’ 기획전시를 개최한다.
고흥분청문화박물관 한국의 분청사기실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세종장헌대왕실록(이하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전라도 지역 자기소와 도기소 70개소에 대해 문헌, 고지도, 지명 등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문화유산 공간정보 시스템(GIS)에 등록된 현재의 288개 가마터를 정밀 지표조사해, 당시의 자기소·도기소 41개소의 위치를 추정한 내용을 공개하는 자리다.
1부에서는 세종실록지리지의 편찬과정과 자기소·도기소에 대한 기록을 소개하고, 청자와 백자의 가교로써 분청사기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2부에서는 조선시대 초기의 지방 행정구역인 나주목, 장흥도호부, 전주부, 남원도호부 등 현재의 광주광역시·전라남북도 지역 33개 시·군의 자기소·도기소에 대한 조사·연구 성과를 정리해 소개한다.
이와 함께, 남원도호부 아산리 자기소(임실 학정리 가마터)와 나주목 영광군 구수동 자기소(영광 길용리 가마터) 출토 ‘내섬(內贍)’명 분청사기, 순창군 심화곡 자기소(순창 심초리 가마터) 출토 ‘순창(淳昌)’명 분청사기 등이 전시된다.
특히 관청의 이름인 ‘내섬’과 지역명인 ‘순창’이 새겨진 이들 분청사기는 당시 해당 출토지역에 각각 중앙관청과 지방관아로 자기를 납품하던 가마터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으로만 남아있던 자기 생산 시설의 흔적을 실제로 확인할 수 있다.
3부에서는 전라도 지역의 자기소·도기소로 추정되는 가마터 41개소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해 관람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전국에 산재한 분청사기 가마터가 매장문화유산과 기록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재조명 받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누구나 지역 문화유산에 더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꾸준한 협업을 유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덕수궁서 만나는 브람스의 선율…‘석조전 음악회’
- ‘탈춤’의 전승 활성화 방안은…문화재청, 24일 학술대회
- 장인 손때 묻은 대패·자귀…한국전통건축 특별전
- 국립문화재연구원, 빛 활용한 연대측정 시스템 도입
- 왕세자의 집무공간 ‘경복궁 계조당’ 복원 기념 전시
- 증강현실로 복원된 ‘익산 미륵사 중문’…18일 시연
- 문화재청, ‘세계유산 해석설명 국제토론회’ 개최
- 창녕 관룡사·곡성 함허정 일원, 명승 된다
- ‘아태 수중문화유산 회의’ 광주서 개막…35개국 전문가 한자리에
- 조선왕조실록·의궤 110년 만에 오대산 품으로
- 문화재청, 숭례문·첨성대 등 문화유산 점검결과 발간
- 전통·현대 어우러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종합공연 열린다
- 전북 마한문화 연구 성과 한자리에…9일 학술대회
-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 “교과서 속 국가유산, 이제 ‘문화유산 지식e음’서 만나세요”
-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천연기념물 기념행사 개최
- 세종시청서 단청·전각 전시…‘전통공예 체험교육 특별전’
- ‘불변의 기록, 10년의 두드림’…금석문 탁본 조사 성과는
- 문화재청, ‘학교 문화유산교육 공모전’ 우수사례 5편 선정
- 한국제교류재단, 서울서 ‘런웨이 싱가포르’ 전시
- 136년 전 경복궁 팔순 잔치, 증강·확장현실로 복원
- 천연기념물 ‘울진 성류굴’ 명문 조사현황과 과제는
- 한양도성박물관 ‘훈국, 도성을 쌓다’ 기획 전시
- 국립중앙과학관, 국회서 ‘시계왕국, 조선’ 특별전
- 왜구 침입 알리던 여수~강화 봉수 16곳, 사적 지정
- 1550년만에 다시 쌓는 신라 공주묘…‘쪽샘 44호분’ 축조 시연
- 온오프믹스-엑시비션 허브 아시아, 국내 전시 이벤트 ‘맞손’
- 노들섬서 만나는 시각예술…신진예술가 공모작 전시
- 문화재청, 고도보존육성 심의위원 19명 위촉
- 국가유산산업 입법 방향은? 문화재청, 전문가 토론회
- 문화재청, ‘국가유산 정책포럼’서 전문가·청년 의견 청취
- 공예·복식·무예… 서울시청서 ‘전통문화 장인 작품전’
- 백남준부터 첨단기술 신작까지…‘서울융합예술페스티벌’
- 문화재청,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인증서 전달식 개최
- 경기도자박물관, 전곡선사박물관과 교육 협력 위해 ‘맞손’
- 유관순·방정환의 공통점은?…서울역사박물관 ‘낙이망우’ 전시
- 국립문화재연구원, 전통한지 5년 연구결과 담은 보고서 발간
- 연구자료 속 문화유산 사진, AI로 찾는다
- 한국도자재단, ‘우리도자 글·그림 대회’ 수상작 발표
- 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미술관 창작공방’ 입주작가 공모
- 한국도자재단, ‘아름다운 우리도자 글·그림 대회’ 수상작 전시
- 폐목재로 놀이터 조성…한국도자재단 “탄소배출 10톤 절감”
- 한국도자재단, '도자문화 교육 전문 강사' 공모
-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D-200…국제공모전 접수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