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왕조실록(이하 실록)과 조선왕조의궤(이하 의궤)의 오대산사고본 원본이 원 소장처였던 강원도 평창 오대산 품으로 돌아간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실록과 의궤를 보관·전시하는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이하 실록박물관)을 설립, 오는 11일 개관식을 개최한다고 9일 밝혔다.
조선시대 지방 외사고 중 하나인 오대산사고에 보관 중이던 실록과 의궤는 당대 기록유산의 정수를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 일제강점기인 1913년 실록 전량과 의궤 일부가 일본으로 반출됐다가 민간과 불교계,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2006년과 2017년에 실록이, 2011년에 의궤가 각각 국내로 환수된 바 있다. 현재 오대산사고본 실록은 75책, 환수된 의궤는 82책이 전해진다.
12일 개관하는 실록박물관은 실록의 원본을 상시로 직접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이며, 실록과 함께 오대산사고본 의궤 원본도 전시된다. 박물관은 관련 유물 1207여점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수장고와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실감형 영상관 등 다양한 공간들로 구성됐다.
이번에 우선 개관하는 공간은 상설전시실이다. 총 3부로 구성돼 있으며, 오대산사고에 보관했던 실록과 의궤의 편찬과 분상(分上)부터 일제강점기인 1913년에 반출된 후 110년 만에 본래의 자리인 오대산으로 돌아오기까지의 여정을 살펴보면서, 국외 반출 문화유산 환수의 중요성과 의미를 되짚어 볼 수 있는 전시가 마련됐다. 또한 로비 공간에 오대산사고본 실록과 의궤의 반출에서 환수까지의 과정을 사진과 영상 자료로 소개한다.
개관식 하루 전인 10일에는 실록과 의궤를 오대산으로 옮기는 이운행렬 재연행사와 축하 공연이 있을 예정이며, 개관식이 열리는 11일에는 고유제 등 풍성한 행사가 펼쳐진다. 개관일인 12일에는 실록박물관을 방문하는 관람객 100명에게 선착순으로 소정의 기념품도 증정한다. 박물관의 입장료는 무료이며, 매주 화요일은 휴관일이다.
- 문화재청, 숭례문·첨성대 등 문화유산 점검결과 발간
- 전통·현대 어우러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종합공연 열린다
- 전북 마한문화 연구 성과 한자리에…9일 학술대회
-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기념행사
- 국립문화재연구원 신지영 실장, ICCROM 이사 선출
- 문화재청, ‘어린이·청소년 누리집’ 새단장
- 문화재청, 서울 태릉·강릉서 산불대응 긴급구조훈련 실시
- 권력 품었던 도성·왕릉은 어떻게 변해왔나
- “숭례문의 역사, 함께 들어요”…특별해설 프로그램 운영
- 국립무형유산원, ‘전통공예 창의공방’ 전시회 개최
- 자연유산 전통조경·명승의 미래는…3일 학술토론회
- 대한제국 독립 외교 거점…옛 주영 공사관에 표식 설치
- 고려 후기 대표하는 ‘부안 내소사 동종’, 국보 된다
- 초대 주미전권공사 박정양 부인 묘지, 미국에서 귀향
- ‘아태 수중문화유산 회의’ 광주서 개막…35개국 전문가 한자리에
- 창녕 관룡사·곡성 함허정 일원, 명승 된다
- 증강현실로 복원된 ‘익산 미륵사 중문’…18일 시연
- 왕세자의 집무공간 ‘경복궁 계조당’ 복원 기념 전시
- 국립문화재연구원, 빛 활용한 연대측정 시스템 도입
- 장인 손때 묻은 대패·자귀…한국전통건축 특별전
- ‘탈춤’의 전승 활성화 방안은…문화재청, 24일 학술대회
-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도자기 가마터, 지도로 만난다
- “교과서 속 국가유산, 이제 ‘문화유산 지식e음’서 만나세요”
- 세종시청서 단청·전각 전시…‘전통공예 체험교육 특별전’
- 빛의 벙커 ‘이왈종, 중도의 섬 제주’ 전시…12월 개막
- 문화재청, ‘학교 문화유산교육 공모전’ 우수사례 5편 선정
- 천연기념물 ‘울진 성류굴’ 명문 조사현황과 과제는
- 국립중앙과학관, 국회서 ‘시계왕국, 조선’ 특별전
- 美덴버박물관서 만나는 한국 분청사기…이건희 기증품 등 전시
- 국립중앙박물관, ‘이건희 기증품’ 목록집 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