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국립중앙과학관
사진 제공=국립중앙과학관

국립중앙과학관은 오는 27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 메인 로비에서 ‘시계왕국, 조선’ 특별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지난 3월 ‘달탐사 특별전’에 이어 국립중앙과학관이 국회에서 개최하는 두 번째 특별전으로, 조선시대 천문학 지식이 집약돼있는 다양한 시계들을 전시한다.

‘왕실의 시계’ 존에서는 왕실과 천문관청 관상감에서 주로 사용됐던 시계를 전시한다. 조선의 국가표준시계로 기능한 ‘자격루’, 세종이 고안한 ‘일성정시의’, 장영실이 만든 또 하나의 자동물시계 ‘옥루’ 등 15세기 세종 때를 중심으로 화려하게 꽃피운 천문학과 시계 제작기술을 만날 수 있다.

‘사람들의 시계’ 존에서는 세종이 백성들을 위해 사람이 많이 다니는 서울 종묘와 혜정교에 설치했던 ‘앙부일구’와 17세기 천문학자 송이영과 18세기 실학자 홍대용이 제작한 두 개의 기계식 ‘혼천시계’, 조선 후기 다양하게 제작되고 사용된 휴대용 해시계 등이 전시된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국립중앙과학관이 그동안 연구를 통해 복원한 장영실의 자동물시계 ‘옥루’, 송이영의 ‘혼천시계’, 홍대용의 ‘혼천시계’ 등이 전시되며, 각 시계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작동하는 모습을 직접 볼 수 있도록 기획됐다.

이석래 국립중앙과학관장은 “우리 관의 고유한 한국과학기술사 연구 성과를 국회에서 선보일 수 있어 기쁘다”라며 “이번 전시가 우리 전통 과학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나아가 우리의 과학 문화가 세계 관객과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키워드
#전시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