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런던 얼스코트 소재의 옛 주영국 대한제국 공사관 건물(현 서니힐코트 건물)에 해당 건물이 1901~1905년에 대한제국 공사관이었음을 알리는 표식을 부착하는 행사가 열렸다.
문화재청은 지난 30일(현지 시간) 주영국대사관과 함께 제막식을 개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공사관 건물로 사용되기 시작한 1901년 이래 122년 만에 진행된 것으로, 이번 행사에는 최응천 문화재청장과 윤여철 주영대사를 비롯해 해당 건물을 관리하는 피바디(Peabody) 재단의 최고 경영자(CEO) 이언 맥더못과 영국 내 한인 동포들, 영국 외교부 주요 관계자 등이 함께 했다.
주영국 대한제국 공사관은 대한제국의 6개 재외 공관 중 하나로서, 영국에 상주하는 각국의 외교사절들과 교류하고 대한제국이 자주국가임을 알리는 외교활동의 주요 거점이었다. 또한 당시 공사 대리로 근무했던 이한응 열사가 공사관 폐쇄에 항거해 순국한 장소이기도 한 만큼 역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
한편, 해당 건물의 역사적 가치를 검토하기 위한 연구가 지난 2018년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주관으로 진행된 바 있었으나, 1960년대에 영구임대주택으로 지정대 사실상 매입이 불가능하고, 실내 구조도 완전히 변경되어 과거의 모습을 재현하기 어렵다는 점이 도출됐다. 또한, 별도의 표식이나 안내판이 없어 그 역사적 가치를 기념하기에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에 주영국대사관은 해당 건물의 관리자인 영국의 피바디 재단 측과 지난해부터 협의해 건물 외벽에 과거 주영국 대한제국 공사관이었음을 알리는 표식을 부착하기로 하고, 문화재청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과 함께 우리 문화유산의 보호와 활용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 중인 ‘국외사적지 상표 이미지’ 사업의 일환으로 공사관 표식을 제작해 지원하게 됐다.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이번 제막식에 참석해 “이번 공사관 표식 부착을 계기로 한영 외교관계 수립 140주년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겨 보고, 우리의 역사가 깃든 옛 주영국 대한제국 공사관 건물이 앞으로도 온전히 보존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고려 후기 대표하는 ‘부안 내소사 동종’, 국보 된다
- 초대 주미전권공사 박정양 부인 묘지, 미국에서 귀향
- ‘탄생 100주년’ 발탈·가야금산조 명인, 공연으로 만난다
- 기후변화 따른 식물 보호 방안은…문화재청 전문교육 실시
- 영국서 만나는 한국 전통문화…‘문화유산 방문 캠페인’ 특별행사
- 제작 50년 지난 생존작가 작품, 해외 반출·매매 가능해진다
- 강원·영남 누각 ‘삼척 죽서루’·‘밀양 영남루’ 국보 된다
- 해(海)를 품은 돌…바다서 출토된 석재 유물의 가치는?
- 서울공예박물관, ‘나전장의 도안실’ 등 온라인 전시 오픈
- ‘활옷이 활짝’…고궁박물관, ‘조선 혼례복’ 연계 문화행사
- 구례 화엄사 등 사찰 지키는 ‘사천왕상’ 8건 보물 됐다
- 집중호우에 무너진 창덕궁 인정전 담장 복구…25일부터 공개
- ‘내륙 교통로’ 중원역사문화권의 문화상 밝힌다
- 창덕궁 ‘왕의 숲길 걷기’ 행사…미공개 청심정·빙옥지 개방
- 국가무형유산 ‘대목장’ 전흥수 보유자 별세
- 자연유산 전통조경·명승의 미래는…3일 학술토론회
- 국립무형유산원, ‘전통공예 창의공방’ 전시회 개최
- “숭례문의 역사, 함께 들어요”…특별해설 프로그램 운영
- 권력 품었던 도성·왕릉은 어떻게 변해왔나
- 문화재청, 서울 태릉·강릉서 산불대응 긴급구조훈련 실시
- 문화재청, ‘어린이·청소년 누리집’ 새단장
- 국립문화재연구원 신지영 실장, ICCROM 이사 선출
-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기념행사
- 전북 마한문화 연구 성과 한자리에…9일 학술대회
- 문화재청, 숭례문·첨성대 등 문화유산 점검결과 발간
- 조선왕조실록·의궤 110년 만에 오대산 품으로
- 창녕 관룡사·곡성 함허정 일원, 명승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