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은 한국고고학회와 함께 오는 3일과 4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고고학으로 본 권력과 공간’을 주제로 제47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를 공동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올해 8월 국립문화재연구원과 한국고고학회 간에 체결한 업무협약의 첫 성과로,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권력의 형성과 확립 과정에서 등장한 도성과 왕릉, 의례·종교 시설이 가지는 권력 상징과 표출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논의하는 자리다.
3일 오전에는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인 ‘고고학으로 본 권력과 공간’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권력 공간으로서 성곽의 출현’, ‘도성과 권력, 고대 중세의 동아세아 왕릉과 권력’, ‘의례·종교 공간과 권력’의 4개 주제강연이 진행된다. 오후에는 4개의 주제강연을 각각의 분과(세션)로 나눠 심도 깊은 발표와 종합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4일에는 각기 다른 국내외의 고고학 연구 성과를 주제별 발표와 종합토론으로 논의해보는 자유 토론자 발표가 동시에 진행된다. ‘학제간 연구를 통해 본 경주 쪽샘 44호분’ ‘중앙 유라시아 쿠르간 문화의 등장과 확산’, ‘청동기시대 움집 재현의 과정과 논의’, ‘장무이묘를 통해 본 3~5세기 동아시아’ 등 고고분야 8개 분과에서 발표한다.
대회 기간 동안 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연구센터 포이어홀에서는 서울 호암산성, 울진 죽변 토기 등을 비롯한 문화유산 분야의 연구성과를 담은 9개 논문의 자료 전시와 국립문화재연구원이 국가유산 현장조사에 적용하고자 개발·연구해온 ‘현장조사 Map’ 시연 행사 등도 만날 수 있다.
- 국립무형유산원, ‘전통공예 창의공방’ 전시회 개최
- 자연유산 전통조경·명승의 미래는…3일 학술토론회
- 대한제국 독립 외교 거점…옛 주영 공사관에 표식 설치
- 고려 후기 대표하는 ‘부안 내소사 동종’, 국보 된다
- 초대 주미전권공사 박정양 부인 묘지, 미국에서 귀향
- ‘탄생 100주년’ 발탈·가야금산조 명인, 공연으로 만난다
- 기후변화 따른 식물 보호 방안은…문화재청 전문교육 실시
- 영국서 만나는 한국 전통문화…‘문화유산 방문 캠페인’ 특별행사
- 제작 50년 지난 생존작가 작품, 해외 반출·매매 가능해진다
- 강원·영남 누각 ‘삼척 죽서루’·‘밀양 영남루’ 국보 된다
- 해(海)를 품은 돌…바다서 출토된 석재 유물의 가치는?
- 서울공예박물관, ‘나전장의 도안실’ 등 온라인 전시 오픈
- ‘활옷이 활짝’…고궁박물관, ‘조선 혼례복’ 연계 문화행사
- 구례 화엄사 등 사찰 지키는 ‘사천왕상’ 8건 보물 됐다
- 문화재청, 서울 태릉·강릉서 산불대응 긴급구조훈련 실시
- 페루 국민 공예품 ‘푸카라 황소’, 서울 온다
- 문화재청, ‘어린이·청소년 누리집’ 새단장
- 국립문화재연구원 신지영 실장, ICCROM 이사 선출
-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기념행사
- 전북 마한문화 연구 성과 한자리에…9일 학술대회
- 문화재청, 숭례문·첨성대 등 문화유산 점검결과 발간
- 조선왕조실록·의궤 110년 만에 오대산 품으로
- ‘아태 수중문화유산 회의’ 광주서 개막…35개국 전문가 한자리에
- 창녕 관룡사·곡성 함허정 일원, 명승 된다
- 증강현실로 복원된 ‘익산 미륵사 중문’…18일 시연
- 왕세자의 집무공간 ‘경복궁 계조당’ 복원 기념 전시
- 국립문화재연구원, 전통한지 5년 연구결과 담은 보고서 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