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이 22일 전북 전수시 국립무형유산원에서 ‘2023년 국립무형유산원 무형유산 자료 기증식’을 개최한다.
이번에 기증된 자료는 고(故) 김봉룡 나전장 보유자, 고(故) 김소희 판소리 보유자, 고(故) 성계옥 진주검무 보유자의 유품과 이흥구 학연화대합설무 보유자의 소장자료 등 총 592건이다.
고 김봉룡(1902~1994)은 평생을 나전공예에 바친 장인으로, 그가 생전에 직접 그린 나전 도안(圖案)이 이번에 다수 기증됐다. 도안은 나전작품을 만들 때 설계도 역할을 하는 밑그림으로, 꽃당초무늬 도안을 비롯해 십장생무늬, 산수무늬, 문자무늬 도안 등이 있다.
판소리 ‘춘향가’ 보유자였던 고 김소희(본명 김순옥·1917~1995)와 관련해서는 소리 입문 시절인 1930년대에 음반 취입을 마치고 스승들과 찍은 사진, 여성국극단 시절 사진, 명창으로 활발히 활동하던 때에 취입한 판소리 음반과 국악계에서 받은 각종 상장과 상패, 훈장 등 소리꾼으로서의 일생 전반을 보여주는 자료들이 기증됐다.
고 성계옥(1927~2009)은 진주검무 보유자로서 진주검무뿐 아니라 경남 진주 지역에서 성행했던 한량무, 포구락무와 같은 전통춤의 전승과 진주 지역의 여성제례인 의암별제를 재현하고 발전시키고자 매진했다. 진주검무를 선보일 때 착용했던 복식과 진주검무 검은 물론, 한량무․포구락무 등의 전통춤 복식, 장고나 가야금과 같은 전통악기, 의암별제 관련 자료 등도 함께 기증됐다.
이흥구(83)는 현재 궁중무용인 학연화대합설무 보유자로, 그가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양성소 소속이던 1957년경 국악사양성소 창고를 정리할 때 발견해 보관해 온 이왕직아악부 시절의 것으로 추정되는 처용무 복식을 기증했다.
국립무형유산원은 “기증된 자료들은 오랜 시간동안 무형유산의 계승을 위해 헌신한 보유자의 삶과 함께 국가무형문화재 종목이 걸어온 길을 보여주는 소중한 흔적들이다”라며 “수장고에서 별도로 보관·관리되는 한편, 온라인 서비스와 기증 자료집 발간을 통해 대중에게 소개되고 국공립박물관의 여러 전시에도 활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 불교 혁신운동 거점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보물 지정
- 공주부터 제주까지…세계유산축전, 7~10월 개최
- 익산 미륵산성서 방어용 시설·석축 저수조 발견
- 산불로 대피했던 ‘강릉 경포대’ 현판 7기 제자리로
- 조선왕조 의례문화 담긴 ‘어보·어책·교명’ 보물 지정
- 도심 속 왕릉에서 문화 체험 즐기세요…‘소락행’ 개최
- 고분 하나에 매장시설 여럿 안치…마한 매장전통 확인
- 충무아트센터, 청소년 위한 ‘뮤직 바캉스’ 개최
- 한옥서 전통 다과 즐기는 ‘남산골 바캉스’ 떠나볼까
- ‘72년 전통’ 서울시 문화상, 후보자 추천 접수
-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 보존관리 위해 ICCROM과 맞손
- 덕수궁서 만나는 슈베르트…석조전 음악회 28일 개최
- 14세기 고려 불교경전 ‘묘법연화경 권제6’ 日서 환수
- 천마총 발굴 50주년…과거·현재 사진 공모전 개최
- 앙코르 유적, 韓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 기술로 복원
- 문화재청, 군산에 수중고고학 인력 양성기관 건립 추진
- 신라 공주 무덤 ‘경주 쪽샘 44호분’, 10년 발굴 성과 공개
- 시민이 뽑은 ‘미래유산’은?…부산시 설문조사 실시
- 김포 장릉 역사문화관, 체험형 전시관으로 새단장
- 국립김해박물관, ‘가야 웹툰 공모전’ 개최
- 문화재청, 자연유산 지키는 당산나무 할아버지 20명 위촉
- 박팽년·성삼문·김종서 등 40인 조명…‘세종인물여행’ 발간
- ‘삼국유사’ 기록 속 ‘경주 미탄사’, 규모·사찰 구역 확인
- 경기민요·궁중채화…전국에서 만나는 무형문화재
- 손끝으로 만나는 청계천…“스마트 청계천박물관으로 오세요”
- 경복궁·창덕궁 야경, 집에서 다과와 함께 즐긴다
- 역사문화권정비위원장에 노중국 계명대 명예교수
- 경주 흥륜사 인근서 고려시대 공양구 유물 54점 출토
- 국립문화재연구원, 국가유산 학술지 ‘문화재’ 100호 발간
- 서울역사박물관 등 ‘서울학’ 학술대회 공동 개최
- 부산시립무용단, 파나마시티서 韓전통무용 매력 전파
- 국악 실내악의 과거와 미래…돈화문국악당 ‘실내악축제’
- 단청·모사·한지 등 전통공예, 문화유산 전문가에게 배운다
- 여름밤 즐기는 망혼일 축제…남산국악당 ‘기담야행2’
- 임진왜란 생생히 기록한 ‘용사잡록’ 번역 발간
- 울산 전통제철·청주 꿀벌치기 등 미래 무형유산 선정
- 공연·전시·체험…‘2023 무형유산축전’ 9월 개최
- ‘프랑스인 소리꾼’ 마포 로르가 들려주는 판소리의 미학
- 고성오광대·평택농악…“소통형 전통연희 보러오세요”
- 독무·군무로 만나는 전통춤의 재해석…국립무용단 ‘온춤’
- 전통공예의 과거·현재, 미디어아트 전시로 만난다
- 악기·공예·전통 복식…국가무형유산 보유자 작품전 ‘향연’
- 매듭장·주물유기장·양태장…경기도, 무형문화재 전승자 공모
- 궁중 잔치의 생생한 기록…국립국악원, 홀기 수록집 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