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분 하나에 매장시설이 여럿 안치된 마한 매장전통이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는 오는 23일 완주 상운리 원상운 고분군의 2차 발굴조사 성과를 공개하는 현장설명회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원상운 고분군이 자리하는 완주군 용진읍 상운리 일대는 상운리 유적을 비롯한 다수의 유적이 밀집하고 있어 전북 마한문화를 밝힐 수 있는 만경강유역권의 핵심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소는 지난해 원상운 고분군의 총 8기 고분 중 가장 중심에 있는 3호 고분에 대한 첫 발굴조사를 진행했고, 올해는 그 남쪽 일대 고분을 대상으로 두 번째 정밀 발굴조사했다.
이번 조사결과 당초 8기로 알려져 있던 고분군에서 9호 고분의 존재를 추가로 확인했으며, 3기(4호, 6호, 9호) 고분의 축조 방식과 성격도 확인했다. 고분은 낮은 분구를 만들고 가장자리에 도랑형태 시설인 주구(周溝)를 두른 전형적인 마한 분구묘 구조다.
분구는 흙으로 쌓아 올린 위쪽 부분이 대부분 유실되어 10~30㎝ 정도만 남아 있었으며 고분의 중심부에 목관 1기가 자리하고, 주구 내부에 목관이 추가 매장된 형태다. 이 중 4호 고분은 경사가 낮은 방향으로 주구를 되메우고 목관 2기를 추가 매장해 수평으로 분구를 확장시킨 특징을 보인다.
목관과 주구 내부에서는 장경평저호(長頸平底壺), 양이부호(兩耳附壺), 이중구연호(二重口緣壺), 뚜껑(蓋) 등의 의례용 토기가 출토됐다. 특히 4호 고분 주구에서 출토된 장경평저호는 완주 일대 마한 토기 문화의 지역성을 보여주는 대표 토기이지만 발굴된 사례는 많지 않다.
연구소는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상운리 일대 분구를 갖춘 원삼국시대 고분 3기의 군집 양상과 축조 방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분이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고 단독으로 자리하거나 수평으로 확장하면서 하나의 고분에 여러 기의 매장시설을 안치하는 마한 특유의 매장전통이 관찰되어 의의가 있다”라고 말했다.
현장설명회는 별도 신청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로 문의하면 된다.
- 충무아트센터, 청소년 위한 ‘뮤직 바캉스’ 개최
- 한옥서 전통 다과 즐기는 ‘남산골 바캉스’ 떠나볼까
- ‘72년 전통’ 서울시 문화상, 후보자 추천 접수
-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 보존관리 위해 ICCROM과 맞손
- 덕수궁서 만나는 슈베르트…석조전 음악회 28일 개최
- 14세기 고려 불교경전 ‘묘법연화경 권제6’ 日서 환수
- 천마총 발굴 50주년…과거·현재 사진 공모전 개최
- 앙코르 유적, 韓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 기술로 복원
- 문화재청, 군산에 수중고고학 인력 양성기관 건립 추진
- 용암이 만들어낸 ‘연천 재인폭포’, 국가지정문화재 된다
- 도심 속 왕릉에서 문화 체험 즐기세요…‘소락행’ 개최
- 조선왕조 의례문화 담긴 ‘어보·어책·교명’ 보물 지정
- 익산 미륵산성서 방어용 시설·석축 저수조 발견
- 불교 혁신운동 거점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보물 지정
- 국가무형문화재 김봉룡·김소희 등 자료·유품 기증
- 신라 공주 무덤 ‘경주 쪽샘 44호분’, 10년 발굴 성과 공개
- 김포 장릉 역사문화관, 체험형 전시관으로 새단장
- 문화재청, 자연유산 지키는 당산나무 할아버지 20명 위촉
- ‘삼국유사’ 기록 속 ‘경주 미탄사’, 규모·사찰 구역 확인
- 역사문화권정비위원장에 노중국 계명대 명예교수
- 경주 흥륜사 인근서 고려시대 공양구 유물 54점 출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