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이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무형유산 등 국가유산 전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학술지인 ‘문화재’ 100호를 발간했다.
‘문화재’는 1965년 문화재청의 전신인 문화재관리국에서 국가유산 전반에 대한 정책 수립과 활용을 위한 학술성과를 축적하고, 국민에게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창간했다. 1999년부터는 국립문화재연구원에서 발간해오고 있으며 고고·건축·미술·보존과학·자연·무형·역사분야뿐 아니라 세계유산·문화재 관련 법·정책·활용 등의 분야를 모두 아우르고 있다.
특히 2008년에는 학술진흥재단에서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등재 후보지로, 2011년에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등재 학술지로 승격했으며, 학술논문 인용률을 측정해 학술지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임팩트 팩터(Impact factor, IF)’에서도 인문학분야 평균(0.66%)보다 높은 약 0.79%를 유지해 오는 등 국가유산 학술·연구 분야에서 뛰어난 영향력을 보이고 있다.
100호에서는 특별히 ‘문화재’의 오랜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만날 수 있다. 그동안 수록된 누적 연구논문 편수(1287편)와 저자수(1953명), 고(故) 정재훈 전(前) 문화재관리국장(12회)과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교수(9회) 등 가장 많은 투고를 한 저자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통계 자료, 역대 ‘문화재’ 구성 및 표지 변천사, 김연수 국립문화재연구원장의 100호 기념 발간사 등이 담겼다.
특별 행사도 마련했다. 10일 국립문화재연구원 사회관계망서비스(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에 게재되는 문제의 정답과 함께 축하글을 오는 20일까지 댓글로 남기면,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소정의 선물을 제공한다. ‘문화재’는 국립문화재연구원 누리집에서 전자책(pdf)의 형태로도 만나볼 수 있다.
- 국립산림과학원, 전통한지의 닥섬유 배열 차이 구명
- “18개 왕릉 함께 걸어요”…‘조선왕릉원정대’ 모집
- 경주 흥륜사 인근서 고려시대 공양구 유물 54점 출토
- 역사문화권정비위원장에 노중국 계명대 명예교수
- 경복궁·창덕궁 야경, 집에서 다과와 함께 즐긴다
- 경기민요·궁중채화…전국에서 만나는 무형문화재
- ‘삼국유사’ 기록 속 ‘경주 미탄사’, 규모·사찰 구역 확인
- 獨 여성판화가 케테 콜비츠의 삶, 공연·전시로 만난다
- 백제문화유산주간, 공주·부여·익산서 7월 개최
- 충무아트센터, ‘창작뮤지컬어워드 NEXT’ 경연작 선정
- 신라고분 정보 한눈에…경주 ‘고분정보센터’ 30일 개관
- 추사 김정희의 마지막 난초 그림 보물 된다
- 문화재청, 자연유산 지키는 당산나무 할아버지 20명 위촉
- ‘9월 개관’ 덕수궁 돈덕전, 대한제국 수교국에 선공개
- 김포 장릉 역사문화관, 체험형 전시관으로 새단장
- 신라 공주 무덤 ‘경주 쪽샘 44호분’, 10년 발굴 성과 공개
- 충무공 애국 의지 깃든 ‘이순신 장도’, 국보 된다
- 국가무형문화재 김봉룡·김소희 등 자료·유품 기증
- 익산 미륵산성서 방어용 시설·석축 저수조 발견
- 조선왕조 의례문화 담긴 ‘어보·어책·교명’ 보물 지정
- 박인태·신수식 국가무형문화재 명예보유자 됐다
- 데브시스터즈·흑요석 작가, 자연유산 홍보 나선다
- 문화재청 “장마로 국가유산 10건 피해…복구 중”
- 문화재청, 국가유산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 아이디어 공모
- 세계 도시·왕성 유적 전문가 한자리에…20일 학술대회
- “국가유산 체제 법률 정비 완료”…문화재→국가유산
- 문화재청, ‘호우 피해’ 문화유산 수리현장 긴급 점검
- 임진왜란 생생히 기록한 ‘용사잡록’ 번역 발간
- 서울역사편찬원, ‘또 다른 서울 사람들’ 발간
- 울산 전통제철·청주 꿀벌치기 등 미래 무형유산 선정
- 공연·전시·체험…‘2023 무형유산축전’ 9월 개최
- “문화체험·전통공연…세계유산 남한산성에서 추억 만드세요”
- 전자출판의 미래는?…‘디지털북페어’, 9월1일 개막
- 악기·공예·전통 복식…국가무형유산 보유자 작품전 ‘향연’
- 무형유산 융합 공연 ‘품다’·‘탈생’, 5~10일 개최
- 국가유산 발굴·연구…‘전북문화재연구센터’ 2026년 개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