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 장릉 역사문화관이 설명 위주 전시에서 관람객이 직접 참여해 느끼고 이해하는 체험형 전시시설로 개편해 오는 27일 새롭게 문을 연다.
김포 장릉은 인조(재위 1623~1649)의 부모인 추존 원종(1580~1619)과 인헌왕후 구씨(1578~1626)의 능이다.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인조는 자신의 정통성을 드러내기 위해 부모를 추존하고, 왕족 신분으로 세상을 떠난 부모의 묘였던 ‘흥경원’을 ‘장릉’으로 승격시켰으며 왕릉의 형태도 새롭게 조성했다. 왕족의 무덤 형태인 ‘원’과 왕릉의 특징이 함께 나타나는 곳이다.
새롭게 단장한 김포 장릉 역사문화관은 ▲김포 장릉 알아보기 ▲ 세계유산 조선왕릉 알아보기 ▲소통마당 세 부분으로 구성됐다.
‘김포 장릉 알아보기’에서는 김포와 장릉, 능주의 생애, 장릉의 변화와 공간 특성, 왕릉을 관리하던 사람들을 주제로 다룬다. ‘장릉지’ 등 역사 자료를 바탕으로 궁능유적본부에서 직접 개발한 장릉 캐릭터 ‘참봉’과 ‘판노미’를 통해 더욱 친근하게 전달한다. 특히 왕릉을 관리하던 관원과 군인이 어떻게 능을 보호하고, 각자 어떤 일을 했는지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세계유산 조선왕릉 알아보기’에서는 장릉이 포함된 세계유산 조선왕릉에 대해 폭넓게 알아보고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세계유산으로서 조선왕릉의 가치와 40기 왕릉의 전체 정보를 담은 무인안내기를 통해 상세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통마당’에서는 아름다운 왕릉의 사계를 영상으로 보고, 장릉 무석인(武石人) 모형과 사진도 찍을 수 있다. 또한 능과 원의 차이, 왕릉 석물의 특징을 축소모형을 직접 만져보며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조선왕릉 역사문화관을 찾는 방문객들이 휴식과 함께 조선왕릉의 가치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시 콘텐츠 내실화를 위해 더욱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신라 공주 무덤 ‘경주 쪽샘 44호분’, 10년 발굴 성과 공개
- 충무공 애국 의지 깃든 ‘이순신 장도’, 국보 된다
- 국가무형문화재 김봉룡·김소희 등 자료·유품 기증
- 불교 혁신운동 거점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보물 지정
- 공주부터 제주까지…세계유산축전, 7~10월 개최
- 익산 미륵산성서 방어용 시설·석축 저수조 발견
- 산불로 대피했던 ‘강릉 경포대’ 현판 7기 제자리로
- 조선왕조 의례문화 담긴 ‘어보·어책·교명’ 보물 지정
- 도심 속 왕릉에서 문화 체험 즐기세요…‘소락행’ 개최
- 고분 하나에 매장시설 여럿 안치…마한 매장전통 확인
-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 보존관리 위해 ICCROM과 맞손
- 덕수궁서 만나는 슈베르트…석조전 음악회 28일 개최
- 14세기 고려 불교경전 ‘묘법연화경 권제6’ 日서 환수
- 천마총 발굴 50주년…과거·현재 사진 공모전 개최
- 문화재청, 자연유산 지키는 당산나무 할아버지 20명 위촉
- ‘삼국유사’ 기록 속 ‘경주 미탄사’, 규모·사찰 구역 확인
- “고종황제부터 백정까지 참여”…‘서울의 국채보상운동’ 발간
- 경기민요·궁중채화…전국에서 만나는 무형문화재
- 경복궁·창덕궁 야경, 집에서 다과와 함께 즐긴다
- 역사문화권정비위원장에 노중국 계명대 명예교수
- “18개 왕릉 함께 걸어요”…‘조선왕릉원정대’ 모집
- 국립문화재연구원, 국가유산 학술지 ‘문화재’ 100호 발간
- 마스크·페트병, 작품으로 재탄생…남산골 업사이클링 전시
- ‘마지막 비공개 조선왕릉’ 서삼릉 효릉, 9월 개방
- 드론쇼부터 문화강좌까지…조선왕릉문화제, 13일 개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