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발생한 강릉 산불 때 인근 박물관으로 긴급 대피시켰던 보물 ‘강릉 경포대’의 현판 7기가 대전에 있는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서 50여일간의 긴급보존처리를 마치고 경포대로 돌아온다.
문화재청은 20일 오후 2시30분 강원도 ‘강릉 경포대’ 앞에서 경포대 현판 7기가 제자리로 돌아왔음을 알리고, 이재민들의 일상 복귀를 염원하기 위한 귀향식을 개최한다. ‘강릉 경포대’는 고려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인 묵객들이 찾아 학문을 닦고 마음을 수양한 장소로, 2019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됐다.
4월11일 산불 발생 당시 ‘강릉 경포대’는 주변 나무에 불이 붙는 긴박한 상황에서 강릉시청 및 소방서,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강원지역문화재돌봄센터 등 관계자들의 노력으로 화마를 피했으며, 긴급한 현장 판단에 따라 현판 7기는 인근의 오죽헌 박물관으로 이동된 바 있다.
당시, 인근에 있던 비지정문화유산인 ‘강릉 상영정’은 전소되고, 강원도지정 유형문화유산인 ‘강릉 방해정’은 안채와 별채의 도리 및 연목 일부가 불타는 피해를 입었다.
문화재청은 오죽헌 박물관에 긴급 대피시킨 현판들이 급박하게 떼어내는 과정에서 일부 틈이 벌어지거나 모서리 이음쇠 등이 탈락하는 등의 결실이 확인됨에 따라 지난 4월26일 대전에 있는 문화재보존과학센터로 이송해 각각 훈증과 세척, 색 맞춤, 고리 설치, 안료 안정화 등의 긴급 보존처리 작업 등을 거쳐 보존처리를 했다.
귀향식에는 최응천 문화재청장과 지역 국회의원을 비롯해 강릉 산불로부터 경포대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 주요 내빈이 참석해 ▲현판 보존처리 경과보고 ▲현판 제막식 ▲주요 문화유산의 산불 대응 현황 설명 등을 통해 문화유산의 보존관리 의지를 다시 한 번 다지고, 산불로 피해를 입은 지역 주민들의 신속한 일상 복귀를 함께 기원할 예정이다.
- 조선왕조 의례문화 담긴 ‘어보·어책·교명’ 보물 지정
- 해양문화유산 전문가 한자리에…태안 연구 주제 토론회
- 서울역사박물관, ‘상하이 은빛 보물’ 특별전
- “21세기 대동여지도”…국가지도집 청소년판 발간
- 문화유산 수리 현장 공개…서산 해미읍성 등 14곳
- 서울문화재단, 관광약자 시설 갖춘 사찰 3선 추천
- 문화재청, 국보‧보물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발간
- 벽돌에 담긴 백제의 美…인천공항서 ‘문양전’ 특별 전시
- “전국 100대 명품숲, 국민이 추천해 주세요“
- “보물 ‘자수가사’ 보러 오세요”…40년 만에 공개
- 조선 선비들 뱃놀이 담은 ‘독서당계회도’ 보물 됐다
- 현존 최고 금속활자 ‘직지’, 반세기 만에 실물 공개
- 복숭아꽃에 담긴 정조의 효심…창경궁 어버이날 행사
- “임시정부와 독립운동 역사, 메타버스로 체험하세요”
- 익산 미륵산성서 방어용 시설·석축 저수조 발견
- 공주부터 제주까지…세계유산축전, 7~10월 개최
- 불교 혁신운동 거점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보물 지정
- 국가무형문화재 김봉룡·김소희 등 자료·유품 기증
- 신라 공주 무덤 ‘경주 쪽샘 44호분’, 10년 발굴 성과 공개
- 시민이 뽑은 ‘미래유산’은?…부산시 설문조사 실시
- 김포 장릉 역사문화관, 체험형 전시관으로 새단장
- 국립김해박물관, ‘가야 웹툰 공모전’ 개최
- 문화재청, 자연유산 지키는 당산나무 할아버지 20명 위촉
- 추사 김정희의 마지막 난초 그림 보물 된다
- ‘삼국유사’ 기록 속 ‘경주 미탄사’, 규모·사찰 구역 확인
- 경복궁·창덕궁 야경, 집에서 다과와 함께 즐긴다
- 역사문화권정비위원장에 노중국 계명대 명예교수
- 경주 흥륜사 인근서 고려시대 공양구 유물 54점 출토
- 사찰 지키는 수호신 ‘사천왕상’ 8건, 보물 된다
- 문화재청, 내년 지역문화유산 활용사업 389건 선정
- ‘상주 안수사명 동종’ 등 6건, 부산시 지정문화재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