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복궁 별빛야행’과 ‘창덕궁 달빛기행’을 집에서 즐기는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한국문화재재단과 오는 4일부터 10일까지 궁온 프로젝트(이하 ‘궁온’의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3일 밝혔다.
코로나19로 대면활동이 어려웠던 2020년에 첫 선을 보인 ‘궁온’은 궁궐 활용 프로그램인 ‘경복궁 별빛야행’과 ‘창덕궁 달빛기행’을 무료로 제공하는 영상과 체험 꾸러미로 집에서 즐길 수 있는 비대면 프로그램이다. 일상 회복을 맞이했지만, 여전히 현장 참여가 어려운 이들을 위해 올해도 진행된다.
‘궁온’ 프로그램에서는 ‘온(ON) 별빛야행’을 주제로 밤의 경복궁 정취를 영상으로 보며 다과를 즐길 수 있는 체험 꾸러미가 제공된다. 궁중병과 5종(연근당과⸱사과정과⸱매작과⸱약과⸱귤칩)과 약차 1종(감비차), 향기 나는 별빛카드와 머그잔으로 구성했다.
토끼 캐릭터 ‘베니’로 유명한 구경선 작가와 협업해 제작한 카드에는 베니가 경복궁, 창덕궁, 조선왕릉을 방문한 삽화가 그려져 있고, 향기도 첨가돼 있어 궁궐의 아름다움을 오감으로 즐길 수 있다.
체험 꾸러미는 궁온 누리집에서 접수한 국민 중 추첨을 통해 선정된 총 800명에게 발송된다. 이번 1차 신청에 이어, 10월에도 ‘온(ON) 달빛기행’, ‘온(ON) 조선왕릉문화제’를 주제로 다양한 체험 꾸러미를 만나볼 수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 행사를 통해 국민이 비대면으로 인기 궁궐 프로그램을 생생하게 체험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궁궐의 가치를 확산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해나가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 경기민요·궁중채화…전국에서 만나는 무형문화재
- ‘삼국유사’ 기록 속 ‘경주 미탄사’, 규모·사찰 구역 확인
- 백제문화유산주간, 공주·부여·익산서 7월 개최
- 신라고분 정보 한눈에…경주 ‘고분정보센터’ 30일 개관
- 추사 김정희의 마지막 난초 그림 보물 된다
- 문화재청, 자연유산 지키는 당산나무 할아버지 20명 위촉
- ‘9월 개관’ 덕수궁 돈덕전, 대한제국 수교국에 선공개
- 김포 장릉 역사문화관, 체험형 전시관으로 새단장
- 신라 공주 무덤 ‘경주 쪽샘 44호분’, 10년 발굴 성과 공개
- 충무공 애국 의지 깃든 ‘이순신 장도’, 국보 된다
- 국가무형문화재 김봉룡·김소희 등 자료·유품 기증
- 불교 혁신운동 거점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보물 지정
- 공주부터 제주까지…세계유산축전, 7~10월 개최
- 익산 미륵산성서 방어용 시설·석축 저수조 발견
- 산불로 대피했던 ‘강릉 경포대’ 현판 7기 제자리로
- 조선왕조 의례문화 담긴 ‘어보·어책·교명’ 보물 지정
- 도심 속 왕릉에서 문화 체험 즐기세요…‘소락행’ 개최
- 역사문화권정비위원장에 노중국 계명대 명예교수
- 경주 흥륜사 인근서 고려시대 공양구 유물 54점 출토
- “18개 왕릉 함께 걸어요”…‘조선왕릉원정대’ 모집
- 공룡 발톱 화석 등 지질유산 831점 국가귀속
- 국립문화재연구원, 국가유산 학술지 ‘문화재’ 100호 발간
- 박인태·신수식 국가무형문화재 명예보유자 됐다
- 경복궁·창경궁, 촉각으로 관람…시각장애인용 해설 운영
- 경주 월성 해자·신라시대 동식물, 영상으로 재탄생
- 데브시스터즈·흑요석 작가, 자연유산 홍보 나선다
- 문화재청 “장마로 국가유산 10건 피해…복구 중”
- 문화재청, 국가유산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 아이디어 공모
- 궁 안의 또 다른 궁 ‘경복궁 건청궁’, 특별 개방
- 경복궁에서 즐기는 가을밤 정취···9월1일부터 야간 관람
- ‘마지막 비공개 조선왕릉’ 서삼릉 효릉, 9월 개방
- 창덕궁 후원, 9~11월 자유 관람…회당 인원 확대
- 문화재청, 청각장애인 맞춤형 ‘경복궁 문화탐방’ 개최
- 드론쇼부터 문화강좌까지…조선왕릉문화제, 13일 개막
- 국악·발레·재즈의 융합 공연, 경복궁에서 만난다
- ‘왕의 서재’ 창덕궁 서향각에서 독서 즐겨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