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 부여 백제 관북리 유적에서 갑옷 등이 출토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백제 사비기 왕궁시설로 추정되는 건물지의 유물 폐기층과 구덩이에서 칠피갑옷을 발굴했다고 27일 밝혔다. 칠피갑옷은 옻칠된 가죽을 연결해 만든 갑옷을 말한다.
1982년부터 발굴조사가 시작된 부여 관북리유적은 대형 전각건물지와 연못지 등 왕궁과 관련한 중요 유구가 확인된 바 있으며, 지난 21일부터 16차 발굴조사가 진행 중이다.
지난해 조사에서는 백제 사비기의 건물지 세 개의 동이 남북방향으로 길게 확인됐는데 궁과 사찰에서 주로 사용하는 중심건물 주변을 둘러싸도록 기다랗게 만든 이른바 장랑식 건물로, 위치와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왕궁 내 조당 공간의 일부로 추정되고 있다.
이 장랑식 1호 건물지의 유물폐기층과 30미터 범위 내 6개의 구덩이에서 칠피갑옷이 출토됐다. 얇은 조각 일부만 노출돼 갑옷으로 단정할 수 없었으나, 발굴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유물이 점차 모습을 드러내면서 겹겹이 쌓인 모서리를 둥글게 만든 사각형의 미늘과 각각의 미늘을 연결했던 원형의 구멍을 확인했다. 이후 출토 조각의 성분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옻을 칠한 갑옷임을 알 수 있었다.
6점의 칠피갑옷 중 2호 수혈유구에서 확인된 갑옷이 비교적 잔존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체 크기는 잔존 폭이 18.2cm, 잔존 너비 49.2cm이고, 개별 미늘의 길이는 7.5~7.8cm, 너비 4.2~4.4cm이며, 미늘을 연결하기 위한 원형의 구멍은 0.2~0.3cm이다.
2호 수혈유구 주변의 기와폐기층에서는 말 안장 부속품 중 발 받침대인 등자가 출토됐고, 3호 수혈유구에서는 말의 아래턱 뼈로 추정되는 동물유체가 확인됐다. 이러한 주변 출토유물 상황과 갑옷의 형태를 고려할 때 2호 수혈유구에서 출토된 갑옷은 말갑옷(馬甲)으로 추정된다.
백제시대 문화층에서 칠피갑옷이 출토된 사례는 공주 공산성(2011년) 이래로 이번이 두 번째다. 문화재청은 "관북리유적과 공주 공산성 칠피갑옷 모두 발견 당시 주변에 폐기된 다량의 유물과 불에 탄 목탄이 함께 출토되었는데, 이것은 백제 멸망 당시의 혼란스러웠던 사회 상황의 일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라고 설명했다.
- 국립부여박물관 “‘두번째 달’ 공연, 집에서 즐기세요”
- 지난해 국립박물관 관람객 '천만' 돌파…역대 최다
- 조선 왕비 인장 ‘내교인’, 서울시 유형문화재 지정
-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 경진대회’, 총 12팀 수상
- 부여 관북리유적서 대형 건물지 확인…“백제왕궁 행사 공간 추정”
- 나주 복암리유적서 관(官) 새긴 백제 기와·주거지 확인
- 군산 선유도 해역서 청동기 간돌검 등 유물 180여점 발굴
- 증강현실로 복원된 ‘익산 미륵사 중문’…18일 시연
- 국립부여박물관, 백제금동대향로 발굴 30주년 기념 공연
- 고대 동아시아 금속공예품의 기술과 복원…학술대회·전시
- 한강 둘러싼 삼국의 경쟁…한성백제박물관 학술회의
- 국립김해박물관,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기념 강좌 운영
- 부여 가림성서 백제~통일신라 성벽·배수체계 발견
- 백제인 토목기술 확인될까…공산성 추정 왕궁지 조사 착수
- 문화재청, '진주대첩 순의제향' 등 호국 행사에 국비 지원
- 문화재 산업 매출액 3조1722억…종사자는 4만5821명
- 문화재청, 창덕궁 희정당·낙선재 등 전각 창호 개방 행사
- 국립무형유산원·韓문화재재단, '전승공예품 인증제' 공모
- 문화재청, 출토유물 관리 등 매장유산 인력 전문교육 운영
- 창경궁 옛 모습 어땠을까…국보 동궐도와 함께 하는 특별관람
- 일제가 허문 경복궁 영훈당, 110년 만에 복원…165억 투입
- 문화재청, 우즈벡 아프로시압 박물관 새 단장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