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중호우로 붕괴됐던 창덕궁 인정전 담장의 복구가 완료됐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무너졌던 담장(약 16m)의 복구 작업을 완료하고 25일부터 일반 관람객에게 공개한다고 밝혔다.
인정전 배면에 위치한 담장은 높이 3m, 둘레 90m 가량의 규모로 지난 7월14일 풍수해로 인해 붕괴된 바 있다. 궁능유적본부 직영보수단(이하 직영보수단)에서는 이번 붕괴 구간뿐만 아니라, 추가 붕괴 우려가 있는 담장 8m 구간도 보수해 총 24m 가량의 담장을 복구했다.
특히 90여일간 진행된 복구과정에는 약 15인의 직영보수단원이 투입돼 장대석 드잡이, 괴강회 피우기, 진흙·와편·전벽돌·일월성신석·기와 등을 사용한 담장 쌓기, 강회 줄눈 바르기 등의 전통기법을 수행했다.
또한 궁능유적본부는 올해 궁·능 문화유산 및 시설물의 풍수해 피해 총 20여건 중 여주 효종대왕릉의 수라간 지붕기와 교체 등 6건에 대한 복구를 완료했다. 현재, 지난달 집중호우로 붕괴된 남양주 홍유릉의 홍릉 외곽담장과 유릉 관람로 및 배수로의 긴급 복구작업을 진행 중이다.
직영보수단은 4대궁, 종묘 및 조선왕릉 등 문화유산의 점검·보수·복구 등을 위해 조직된 문화재청 직속 전문 기능인 집단이다. 1980년 기동보수단으로 창설된 이후 현재까지 매년 300여 건의 경미수리 또는 시급성이 요구되는 중·소규모의 보수·정비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목공·석공·미장공·단청공 등 총 27명의 기능인으로 구성돼 있다.
키워드
#문화재청
관련기사
- ‘내륙 교통로’ 중원역사문화권의 문화상 밝힌다
- 창덕궁 ‘왕의 숲길 걷기’ 행사…미공개 청심정·빙옥지 개방
- 국가무형유산 ‘대목장’ 전흥수 보유자 별세
- 문화재청, ‘지리산 쌍계사·불일폭포’ 명승 지정 기념행사
- 해설로 만나는 ‘태조 이야기’…건원릉 능침 특별 개방
- ‘피란수도 부산’·‘전남 갯벌’,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록
- 국가유산 발굴·연구…‘전북문화재연구센터’ 2026년 개관
- “해남 송호해수욕장 고선박, 곡물운반선 추정”
- ‘동명동 성당’, 속초 첫 국가등록문화유산 된다
- '6·25 전사자 유품 보존·복원' 논의의 장 열린다
- 가야 시대 ‘로만글라스 유리’는 어떻게 유통됐을까
- 고대 동아시아 금속공예품의 기술과 복원…학술대회·전시
- “어명이오, 첩종을 명하라!”…4년 만에 만나는 궁궐 호위군
- 예술에 헌신한 100년…‘조선 마지막 무동’ 김천흥 자료집 발간
- 광화문 '월대', 100년 만에 복원 완료…'서울시, 15일 공개'
- 무형유산 작품전, 창덕궁 낙선재서 19~22일 개최
- 대한제국의 외교 현장, 덕수궁서 재현된다
-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천연기념물 됐다
- 해(海)를 품은 돌…바다서 출토된 석재 유물의 가치는?
- 강원·영남 누각 ‘삼척 죽서루’·‘밀양 영남루’ 국보 된다
- 제작 50년 지난 생존작가 작품, 해외 반출·매매 가능해진다
- ‘탄생 100주년’ 발탈·가야금산조 명인, 공연으로 만난다
- 초대 주미전권공사 박정양 부인 묘지, 미국에서 귀향
- 대한제국 독립 외교 거점…옛 주영 공사관에 표식 설치
- 국립무형유산원, ‘전통공예 창의공방’ 전시회 개최
- “숭례문의 역사, 함께 들어요”…특별해설 프로그램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