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 작가가 노벨 문학상 수상 후 13일 스웨덴 공영 SVT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지금은 주목받고 싶지 않다"며 "이 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연합뉴스와 SVT 방송의 보도에 따르면 한 작가는 노벨 문학상 수상 직후인 지난 11~12일 사이 자택에서 이뤄진 것으로 추정되며, 한 작가는 "나는 평화롭고 조용하게 사는 것을 좋아한다"며 "글쓰기에 집중하고 싶다"고 밝혔다.
왜 축하하고 싶지 않았냐는 기자의 질문에는 "아니다. 아들과 함께 카밀러(카모마일) 차를 마시며 축하했다"며 "축하하고 싶었는데 왜 그렇게 생각했느냐"고 물었다. 이에 지난 11일 한 작가의 부친인 한승원 작가가 기자들과의 면담에서 딸이 우크라이나 전쟁 등 세계의 상황 때문에 그러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고 답하자 "뭔가 혼란이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 작가는 "그날 아침 아버지께 전화드렸을 때 아버지는 마을에서 사람들과 큰 잔치를 하려고 했는데 나는 그게 좋지 않았다"며 "그래서 그런 큰 잔치는 하지 마시라고 했다"고 설명했다.이어 "나는 조용히 있고 싶다"며 "세계에 많은 고통이 있고, 우리는 좀 더 조용하게 있어야 한다. 그게 내 생각이어서 잔치를 열지 말라고 한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한 작가는 노벨 문학상 발표 직후 소감에 대해 "(한림원의 전화 인터뷰를 할 때) 장난인 줄 알았는데, 결국에는 진짜였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했다. 한 작가는 끔찍한 역사적 사건에 직면해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에 대해 "우리는 역사를 통해, 말을 통해 배울 기회가 많이 있었는데, 분명히 (끔찍한 일들이) 반복되는 것 같다"며 "적어도 언젠가는 과거로부터 배울 수 있기를 바란다. 우리가 살인을 멈춰야 한다는 것은 우리가 배웠던 것들의 아주 분명한 결론"이라고 강조했다.
한 작가는 현재 집필 중인 작품을 빨리 끝내고 노벨 문학상 수락 연설문 작성에 집중할 예정이다. 한 작가는 현재 신작을 이번달이나 다음달 초 중 마무리하고 한림원으로부터 요청받은 에세이를 작성할 예정이다.
- 문체부, 한국문학 해외 홍보 등 위한 확대 방안 모색 회의 개최
- 줄어드는 작은 서점…노벨상 '반짝 효과' 막아야
- 광주시교육청, 한강 작가 노벨 문학상 수상 계기 독서 문화 조성 추진
- "한국 문학 아닌, 한강 문학"…노벨문학상 이면의 씁쓸함
- '경기 다독다독 축제' 6천명 행렬…한강 노벨상 수상 효과
- 한강이 감동한 악동뮤지션 노래 역주행
- 폭력 속 연약하고도 강인한 삶, 소설가 한강의 작품들
- 두산연강재단, 제15회 두산연강예술상 강보름·정여름 선정
- 상상력을 부정하는 예술론 [북 리뷰]
- 한강 작가 소설 포함 7500여 종 국내 책 불법 사이트서 유통
- '한국 문학 세계화' 정부, 내년 전국 단위 문학축제 연다
- 괌정부관광청, 예술로 괌 담은 'Color of Guam: Hafa Adai!' 전시 개최
- 뮤지엄엘, 이소영 작가와 함께하는 아트 클래스 시즌 2 운영
- 교보문고, 한강 작가 작품 독점 비판에 '오프라인 판매 일시 중지'
- 부산비엔날레, 65일 장정 끝 폐막…총 13만6540명 방문
- 국립고궁박물관, 라인프렌즈 '샐리'와 국가유산 홍보 행사 개최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 10주년 기념 특별전시 사전 국제 심포지엄 개최
- 관악문화재단, 시민 참여 특별전 '두 번째 생각; on the second thought' 개최
- 부산시 공공도서관, 노벨문학상 한강 작가 기념 연계 행사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