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년 한강 작가가 광주광역시 광주비엔날레전시관에서 열린 2016 광주비엔날레포럼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 한강 작가. 사진 = 연합뉴스
지난 2016년 한강 작가가 광주광역시 광주비엔날레전시관에서 열린 2016 광주비엔날레포럼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 한강 작가. 사진 = 연합뉴스

한강 작가가 노벨 문학상 수상 후 13일 스웨덴 공영 SVT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지금은 주목받고 싶지 않다"며 "이 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연합뉴스와 SVT 방송의 보도에 따르면 한 작가는 노벨 문학상 수상 직후인 지난 11~12일 사이 자택에서 이뤄진 것으로 추정되며, 한 작가는 "나는 평화롭고 조용하게 사는 것을 좋아한다"며 "글쓰기에 집중하고 싶다"고 밝혔다.

왜 축하하고 싶지 않았냐는 기자의 질문에는 "아니다. 아들과 함께 카밀러(카모마일) 차를 마시며 축하했다"며 "축하하고 싶었는데 왜 그렇게 생각했느냐"고 물었다. 이에 지난 11일 한 작가의 부친인 한승원 작가가 기자들과의 면담에서 딸이 우크라이나 전쟁 등 세계의 상황 때문에 그러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고 답하자 "뭔가 혼란이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 작가는 "그날 아침 아버지께 전화드렸을 때 아버지는 마을에서 사람들과 큰 잔치를 하려고 했는데 나는 그게 좋지 않았다"며 "그래서 그런 큰 잔치는 하지 마시라고 했다"고 설명했다.이어 "나는 조용히 있고 싶다"며 "세계에 많은 고통이 있고, 우리는 좀 더 조용하게 있어야 한다. 그게 내 생각이어서 잔치를 열지 말라고 한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한 작가는 노벨 문학상 발표 직후 소감에 대해 "(한림원의 전화 인터뷰를 할 때) 장난인 줄 알았는데, 결국에는 진짜였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했다. 한 작가는 끔찍한 역사적 사건에 직면해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에 대해 "우리는 역사를 통해, 말을 통해 배울 기회가 많이 있었는데, 분명히 (끔찍한 일들이) 반복되는 것 같다"며 "적어도 언젠가는 과거로부터 배울 수 있기를 바란다. 우리가 살인을 멈춰야 한다는 것은 우리가 배웠던 것들의 아주 분명한 결론"이라고 강조했다.

한 작가는 현재 집필 중인 작품을 빨리 끝내고 노벨 문학상 수락 연설문 작성에 집중할 예정이다. 한 작가는 현재 신작을 이번달이나 다음달 초 중 마무리하고 한림원으로부터 요청받은 에세이를 작성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