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찰 의식에 맞춰 낙화를 태우며 재앙소멸과 복을 기원하는 '세종 불교 낙화법'이 세종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세종 불교 낙화법'은 불교 의례로, 축제 성격을 가지는 낙화놀이와는 구별된다. 구전으로 전승된 것이 아닌 '오대진언집'에 낙화법의 절차가 묵서돼 있는 특징이 있다. 세종시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사찰에서 이루어지는 낙화법은 세종시에서 봉행되고 있는 것이 유일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의례는 예비의식, 본의식, 소재(消災)의식, 축원과 회향의식 순으로 진행된다. 절차에 따라 종이, 숯, 소금, 향을 준비하고 축원 발원 후 낙화봉을 제작하고 낙화 점화와 함께 수구즉득다라니 등을 염송하며 재난·재앙 예방과 의식에 참여한 모든 이들을 축원하며 의례를 마친다.
세종시는 '세종 불교 낙화법'의 무형문화재로 지정과 함께 불교 낙화법 보유단체로 불교낙화법보존회를 인정했다. 불교낙화법보존회는 세종 불교 낙화법을 전형대로 구현할 수 있는 전승 능력을 갖췄고, 전승 의지 및 기량 등이 탁월한 점을 인정받았다.
불교낙화법보존회는 오는 정월대보름인 24일 영평사에서 정월대보름행사와 함께 무형문화재 지정 기념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키워드
#무형문화재
관련기사
- 궁중문화축전 주요 프로그램 감독에 박동우·송재성·구병준
- ‘50여년 옥 공예’ 김영희 씨,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된다
- 국가무형유산 우수 이수자, 月 50만원 받는다
- 전승공예대전 대통령상에 이영분 작가…수상작 131점 전시
- 문화유산 보호 은관문화훈장에 김삼대자·김현곤 씨
- 매듭장·주물유기장·양태장…경기도, 무형문화재 전승자 공모
- 문화재청, ‘국가유산 정책포럼’서 전문가·청년 의견 청취
- 국가유산산업 입법 방향은? 문화재청, 전문가 토론회
- 무형문화재 27종목 만난다…‘서울무형문화축제’ 개최
- 신명 나는 겨루기 한판…한국민속예술제, 22일 개막
- 금박·분청·채화 한자리에…서울공예박물관 ‘공예 다이얼로그’
- 전통공예의 과거·현재, 미디어아트 전시로 만난다
- '디젤난방차 905호' 국가등록문화유산 됐다
- '세종 빛 축제', 한국축제콘텐츠대상 특별상 수상
- 세종 나성동·보람동에 문화거리 조성된다
- 벚꽃의 메카로 오세요…'D-24' 진해군항제, 성공 개최 '총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