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당국이 금융권을 향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이자부담을 낮추는 방안을 강구해달라고 요구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0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금융지주회사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현재 고금리를 부담하고 있는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절박한 상황을 고려해달라"며 "금융회사 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최대한 범위에서 코로나 종료 이후 높아진 이자 부담 증가분의 일정 수준을 직접적으로 낮춰줄 수 있는, 체감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달라"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양종희 KB금융 회장 내정자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이석준 NH농협금융 회장 등 8대 은행금융지주 회장단이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고금리·고물가와 세계적 경기둔화가 맞물리면서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면서 "우리 경제를 바닥에서부터 떠받쳐온 동네·골목상권 붕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금융권, 특히 은행권은 역대급 이익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주에도 언급했지만, 금융권의 역대급 이자수익 증대는 국민 입장에서는 역대급 부담 증대를 의미한다"면서 최근 국회에서 발의된 '횡재세' 관련 법안에 대해 "막대한 은행 이익이 단지 금리상승 등 외부적 환경 변화에 따른 결과라는 따가운 시선도 있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금융권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탄탄한 건전성을 바탕으로 실물경제에 대한 자금 중개 기능을 충실히 하는 것"이라며 "건전성을 지키면서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충분한 수준의 지원방안을 마련해달라"고 강조했다.
이 금감원장은 이어 "금융회사의 상생 노력은 영국 등 해외 선진국에서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국제통화기금(IMF)도 연례협의 보고서를 통해 취약계층 선별적 지원을 권고했다"고 덧붙였다.
금융당국 당부에 8대 은행금융지주 및 은행연합회는 자영업자·소상공인의 향후 이자 부담 경감을 위해 공동의 사회적 역할을 확대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은행 등 자회사와 추가 논의를 거쳐 국민 기대와 눈높이에 맞는 세부적인 지원 규모 등 최종안을 연내 발표할 예정이다.
- 은행 3분기 이자익 44조 '역대 최대'…수익성은 주춤
- 은행연합회 차기 회장에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전 회장(종합)
- 금감원, 지속된 금융사고에 여전업권 내부통제 개선안 마련한다
- C레벨 임원 '임금 삭감' 나오나...상생 눈치 보는 은행
- 금융당국, 은행에 횡재세 대신 '실질적 지원' 강조
- 농협금융, 최정예 자산관리 전문가의 투자전략 노하우 공개
- 금융당국 은행에 "국민 상생"…실효성은 물음표
- 4대금융, 올해 순이익 작년보다 7000억원 증가 전망
- 금융당국, 27일 은행장 만난다…상생 방안 논의
- 금감원 "변액보험, 원금손실 발생할 수 있어"
- '상생금융' 내건 금융당국, 17개 은행장 만난다
- 은행연 "상생금융 지원 대상, 논의 없어…TF 발족"
- 은행권 금융지원방안 마련 속도…TF 구성·첫 회의 개최
- 이복현, 자산운용사 CEO 만나…"리스크 관리 강화" 당부
- 시중은행, 가계대출 조기 상환 위해 중도상환 수수료 안 받는다
-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 전면 개편…부서장 84% 교체
- 하나금융, 사회혁신기업 성장 위한 '하나 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 은행 '횡재세' 도입 움직임에 전문가들 "졸속 법안 우려"
- 상생 압박 이어 ELS까지…KB금융 주가 부진
- [이슈 더보기]이복현, 출마설 사라지자 존재감 더 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