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사진=문제민 기자
금융감독원. 사진=문제민 기자

국내 은행이 올해 3분기까지 44조2000억원에 달하는 이자이익을 거뒀다. 고금리 기조에 이어 대출 잔액이 크게 증가한 덕이다.

2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3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국내 은행 이자이익은 14조8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000억원 증가했다. 누적 이자이익은 44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만 수익성 자체는 나빠졌다. 국내 은행 순이자마진(NIM)은 1분기1.68%, 2분기1.67%, 3분기1.63%로 점점 줄어들었다.

3분기 순이익은 5조4000억원으로 작년 대비 28.6% 늘었지만 2분기(7조원)보다는 23.9% 줄었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58%로 전분기 대비 0.2%p,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7.87%로 전분기 대비 2.78%p 감소했다.

이는 특수은행 수익성이 줄어든 탓이다. 일반 은행 당기 순익은 4조2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6000억원 증가했지만 특수은행은 같은 기간 2조1000억원 줄어든 1조3000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ROA 또한 일반 은행은 지난 분기보다 0.08%p 오른 0.70%지만 특수은행은 0.69%p 줄어든 0.37%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은  "국내은행의 순이익은 2022년 이후 금리상승 및 이자수익자산 증가 등으로 확대되어 왔으나 올 들어 순이자마진 및 ROA·ROE 등 지표가 하락하는 등 수익성이 점차 둔화되는 모습"이라며 "올해 3분기 연속 순이자마진이 하락하고 있으나 대출 등 이자수익자산 증가로 이자이익은 소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국내 은행의 약점으로 꼽히는 비이자이익도 줄었다. 3분기 중 국내 은행 비이자이익은 8000억원으로 전분기(1조7000억원) 대비 56.1% 감소했다.

3분기 판매관리비와 대손비용은 각각 18조9000억원, 5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각각 8000억원, 1조원 늘었다.

금융감독원은 "고금리 상황 장기화 및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에 따라 은행의 대손비용 부담도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은행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을 통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