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사진제공=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사진제공=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9일 자산운용업계와 만나 신뢰 회복과 책임있는 의결권 행사, 리스크 관리 강화를 당부했다.

이 원장은 29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23개 자산운용사 CEO 간담회에서 "국민자산증식과 자산관리의 최일선에 서 있다는 자부심과 소명의식으로 고객자산을 운용·관리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기업의 건전한 지배구조 형성과 주주가치 제고를 우선하는 시장문화 조성을 위해 기관투자자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며 "소유분산기업의 주주권익 보호를 위해 적극적인 관심과 책임감을 가지고 관련 내규, 프로세스와 조직운영 등을 살펴보고 내부정책을 개선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이 원장은 리스크 관리 강화도 주문했다. 최근 부실 우려가 발했하고 있는 해외 대체 투자 펀드에 대해서 "부실이 반복되지 않도록 투자 단계별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펀드 성과가 투자자에게 투명하게 공시될 수 잇도록 적극적인 사후관리와 함께 투자금 회수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말했다.

아울러 "향후 좋은 펀드가 잘 팔리도록 펀드 판매 관행 정책과 함께 유관 기관과 펀드정보를 원스톱으로 통합·관리해 펀드 정보 적근성을 제고할 것"이라며 "다양한 상품이 출시될 수 있도록 펀드 운용규제를 합리화하는 등 제도적 지원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과 자산운용사 CEO가 함께하는 간담회는 지난 2월에 이어 이번이 올해 두 번째다. 그동안 이뤄진 제도 개선 결과를 전달하고 자산운용산업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달 '자산운용사 의결권 행사 가이드라인 전면 개정' 결과를 발표하고, 의결권 행사와 공시 관련 정책, 의사결정 체계와 절차 등 내부통제에 과한 모범기준을 제시했다.

또한 금융위는 지난 26일 '금융회사 등의 해외진출에 관한 규정' 전면 개정안을 발표한 바 있다. 개정안에는 역외금융회사(SPC) 투자 및 해외 지사를 설치할 시 사전 신고 의무를 사후보고로 전환하고, 출자요청 방식의 역외금융회사 투자에 대한 특례도 신설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