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오는 11일부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가 미흡한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현장 점검에 나선다.
신협중앙회와 저축은행을 비롯한 캐피탈사 등 PF 부실 우려가 큰 2금융권이 우선 점검 대상에 올랐다. 오는 15일부터 증권업계와 지방은행, 보험사 등으로 점검 대상이 확대된다.
지난달 말 6%대의 연체율을 기록한 신협은 우선 점검 대상으로 떠올랐다.
신협 개별 조합들이 제출한 PF 사업장 평가가 금감원이 보유 중인 자체 평가와 상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금감원은 신협중앙회를 중심으로 PF 평가 집중 현장 지도에 착수 예정이다.
PF 사업성 평가가 미흡한 개별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 및 새마을금고중앙회에 통보할 계획이다. 이들 금고는 행안부 및 새마을금고중앙회 주도로 추가 점검을 실시하고, 필요 시 금융당국이 인력을 지원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저축은행 및 캐피탈 업계에서도 각 5~6개 회사에 현장 점검을 실시할 방침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사업성 평가 기준을 3단계(양호·보통·악화우려)에서 4단계(양호·보통·유의·부실우려)로 세분화했다.
기존 악화우려 사업장은 금융사가 대출액의 30%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했는데, 앞으로 부실우려 사업장은 75%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2금융권은 추가 충당금 적립 등 손실 인식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금감원은 현장 점검 및 지도 등을 거쳐 오는 26일 사업성 평가 결과 및 충당금 규모를 확정할 예정이다.
신용평가사들은 올해 2금융권에서만 조 단위의 추가 충당금 인식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엄격한 사업성 평가에 따른 충당금 적립이 이뤄질 것"이라며 "상반기 적자 폭이 당초 예상보다는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 금감원, 23일 공시 담당자 설명회…"누락·미흡 다수 확인"
- 금감원, '파두 뻥튀기 상장 의혹' SK하이닉스 압수수색
- 금융당국, 주담대 증가에 은행 대출 현장 점검 나선다
- 금감원장 한마디에…은행 대출금리 '줄인상'
- 금감원, 신협 건전성 점검 위해 수시 검사 착수
- 신협중앙회, 부실채권 자회사 설립…'연체율 관리'
- 저축은행 건전성 기준, 은행 수준으로 높인다
- 현대카드, 금감원 팀장 영입하나
- 금감원, 은행 이사회 의장 간담회…"내부통제 강화·지배구조 확립"
- 저축은행 연체율, 2년 반 만에 소폭 하락
- 자영업자 연체율, 약 10년만 최고
- 금감원,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메리츠 이어 한투 현장 점검 나서
- 새마을금고중앙회, 임직원 참여 'MG헌혈 캠페인' 실시
- 신협, 1조원 부실채권 턴다…전문 자회사 출범
- 신협, 연체율 비상에 NPL 자회사 내세워…회수율 '관건'
- 금감원 압박에도 신협중앙회 내부통제 '무응답'…김윤식 회장 책임론
- 신협, 건설업 대출 연체율 10% 넘어…금융당국 점검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