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무리한 가계대출 확대에 경각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은행 가계대출 확대 속도가 빨라지면서 시중은행은 잇달아 금리 인상을 결정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이날부터 가계 부동산담보대출 금리운용 기준을 0.13%p 인상한다.
이에 주택담보대출 신잔액코픽스 변동금리는 3.65%~5.05%에서 3.78%~5.18%로, 혼합형 금리는 3.00%~4.40%에서 3.13%~4.53%로 변경된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 증가세가 예상보다 빨라 성장 속도 조정을 위해 금리를 조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하나은행도 지난 1일부터 가계 주택담보대출 감면 금리 폭을 최대 0.20%p 축소했다. 실질적으로 금리가 오른 셈이다.
하나은행 역시 "가계 대출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선제적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2일 임원 회의에서 "성급한 금리 인하 기대와 국지적 주택가격 반등에 편승한 무리한 대출 확대는 안정화하던 가계부채 문제를 다시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5대(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은행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올해 상반기 기준 552조1526억원으로 지난해 말(529조8922억원)보다 22조 이상 늘어났다. 증가율은 4.2%다.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에 가계대출 증가세를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이내에서 관리해 달라고 당부한 바 있다.
현재 가계대출 총 잔액은 지난해 말 대비 2.33% 올랐다. 지난해 국내 명목 GDP 성장률은 3.4%로 아직 여유가 있으나 이복현 원장을 비롯한 당국이 여러 차례 가계대출 증가를 지적한 만큼 선제적 조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 4월 은행 연체율 0.48%…전월比 0.05%p↑
- 5대 은행 가계대출, 한 달 사이 5조원 증가
- 이창용 한은 총재, 은행장 만나 "금리인하 시기 불확실 대비해야"
- 주담대 감소에 가계대출 줄었다
- 국민은행, 안면인식 출국 '스마트패스' 시행… 민간기업 최초
- 금융당국, 주담대 증가에 은행 대출 현장 점검 나선다
- 우리금융연구소 "2분기, 국내 성장률 0%“
- 금감원, 23일 공시 담당자 설명회…"누락·미흡 다수 확인"
- 우리은행, 주담대·전세대출 금리 인상…은행 문턱 높아져
- 금감원, 신협·저축은행 등 '부실 PF' 현장 점검 나선다
- 6월 가계대출 4.4조 증가…3개월 연속↑
- 신한은행, 주담대 금리 인상 동참…0.05%p↑
- 금감원, 은행 이사회 의장 간담회…"내부통제 강화·지배구조 확립"
- 시중은행은 금리 올렸는데…코픽스, 1달 만에 하락
- 우리은행, 2주 만에 대출금리 추가 인상…"가계대출 관리"
- 시중은행, 가계대출 증가에 줄줄이 금리인상
- 이복현 금감원장 "밸류업 위해 기업 적극적 자세 중요"
- 주담대 기준 코픽스, 4달 만에 상승 전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