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협의 건설업 대출 연체율이 10%를 넘었다. 금융당국은 사태 해결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1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신협의 건설업 대출 연체율은 10.23%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말 6.02%에 비해 4.21%p 상승한 수치다.
부동산업 대출 연체율도 상승했다. 신협의 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 3.22% 증가한 8.55%로 나타났다.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건설업과 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각각 13조8000억원과 25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건설업 대출과 부동산업 대출은 PF 관련 부실을 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표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PF 성격으로 분류되는 공동대출 등이 건설·부동산업 대출에 상당부분 포함돼 있다"면서 "최근 신협 연체율 상승이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협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 3월 말 기준 7.22%로 작년 말에 비해 2.83% 올랐다. 신협 전체 연체율도 6% 후반대를 기록하며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신협은 NPL 자회사 출범으로 연체율을 관리하겠다는 계획이다. 신협은부실 채권 전문 자회사 'KCU NPL 대부'로 올해 안에 1조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정리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금융당국은 이런 신협 건전성 문제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금감원과 금융위는 지난 8일 신협과 저축은행 관계자들을 모아 PF 사업성 평가와 관련한 업계 의견을 나눈 데 이어 오는 12일에도 신협의 건전성과 연체율 현황을 점검하는 자리를 가진다.
금융당국은 9월부터 본격적으로 경·공매 물량이 나올 것으로 예측한다.
금감원은 현재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부실 PF 사업장 재구조화 및 정리 계획을 제출 받아 이달 중으로 사업성 평가 결과 및 충당금 규모를 확정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1개월마다 경공매·6개월 내 구조조정 완료'라는 원칙을 세운 바 있다. 다만 지침이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업계의 의견을 수용해 일부 유연성을 부여하는 해설서를 재배포했다.
- 금감원 압박에도 신협중앙회 내부통제 '무응답'…김윤식 회장 책임론
- 신협중앙회 '신협 제주연수원' 기공식 개최
- 신협, 연체율 비상에 NPL 자회사 내세워…회수율 '관건'
- 신협, 1조원 부실채권 턴다…전문 자회사 출범
- 금감원,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메리츠 이어 한투 현장 점검 나서
- 금감원, 신협·저축은행 등 '부실 PF' 현장 점검 나선다
- 금감원, 신협 건전성 점검 위해 수시 검사 착수
- 김윤식 신협중앙회장 최측근 '공연음란' 논란…"실세들 황제 놀이터"
- 이복현 금감원장 "은행 가계대출 금리 상승, 개입 필요성 느껴"
- 2024 아시아신협 포럼 성료…김윤식 신협중앙회장 ACCU 회장직 4연임
- 신협, 금융당국 제재 4년째 외면...전국 조합 절반 불이행
- 신협, 금융복지상담사 양성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신협, 임원 승진자에 '명퇴금' 줬다…5년간 110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