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서울 중구 코시스센터에서 열리는 '한류 수용성과 문화다양성의 이해 포럼' 포스터.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23일 서울 중구 코시스센터에서 열리는 '한류 수용성과 문화다양성의 이해 포럼' 포스터.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23일 서울 중구 코시스센터에서 '한류 수용성과 문화다양성의 이해 포럼'을 연다고 23일 밝혔다.

포럼은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한류 컨텐츠의 문화적 수용성을 높이고 한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열린다. 최근 한류 컨텐츠의 유행과 달리 특정 문화권이나 국가에 대한 왜곡된 묘사,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나 존중 없이 겉으로만 차용한 해당 문화 표현, 문화 전유 논란 등도 함께 발생하고 있다.

포럼은 정부와 학계, 업계, 유관 기관 등 전문가들을 초청해 진행된다. 포럼은 △세션 1 '한류와 문화다양성의 포괄적 이해' △세션 2 '한류 수용성 진단: 장르와 현장을 중심으로' △종합토론으로 나뉜다.

세션 1에서는 △'한류 관점에서 본 문화다양성과 새 도약을 위한 과제'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 교수) △'케이팝과 문화다양성, 새로운 시대의 케이팝' (이규탁 한국조지메이슨대 교수) △'게임 한류, 다양성으로의 진전' (강신규 방송광고진흥공사 책임연구위원) 등 다양한 학계의 의견이 제시된다.

세션 2에서는 업계 등 현장 의견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케이팝 산업 속 문화다양성: 현황과 전망' (김윤하 대중음악평론가) △'게임과 D&I(다양성&포용) : 개념과 사례' (이경진 스마일게이트 D&I 실장) △'현지화 관점에서 본 문화다양성의 과제' (장민진 아이유노 법인장) 등의 발표가 이어진다.

김 평론가는 문화예술인, 팬덤, 컨텐츠 등 세 가지 핵심어로 케이팝 속 문화다양성을 진단한다. 이 실장은 자사 디앤아이실 설립 배경을 소개하며 문화컨텐츠의 사회적 영향력과 세계적 파급력에 대한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모두를 위한 즐거움(DELIGHT EVERYONE)'에 대한 가치를 설명한다. 장 법인장은 영상·자막 분야의 문화다양성을 논의한다.

특히 이번 토론회에서는 2023 글로벌 문화기획단 '아우르기'에 참여한 미얀마, 이탈리아, 이란 출신 유학생 세 명도 함께한다. 이들은 한류 수용성 확대를 위해 자국 문화와의 상호 교류, 타문화·인종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직접 경험한 한류에 대해 논할 예정이다.

용호성 문체부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은 "이번 토론회는 한류가 세계 문화 속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수용되는지를 깊이 있게 탐색하는 동시에, 한류 콘텐츠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립하는 소중한 논의의 장이 될 것이다"라며 "문화다양성은 한류의 정체성이자 지속 가능한 확장을 위한 중요한 지향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