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23일 서울 중구 코시스센터에서 '한류 수용성과 문화다양성의 이해 포럼'을 연다고 23일 밝혔다.
포럼은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한류 컨텐츠의 문화적 수용성을 높이고 한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열린다. 최근 한류 컨텐츠의 유행과 달리 특정 문화권이나 국가에 대한 왜곡된 묘사,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나 존중 없이 겉으로만 차용한 해당 문화 표현, 문화 전유 논란 등도 함께 발생하고 있다.
포럼은 정부와 학계, 업계, 유관 기관 등 전문가들을 초청해 진행된다. 포럼은 △세션 1 '한류와 문화다양성의 포괄적 이해' △세션 2 '한류 수용성 진단: 장르와 현장을 중심으로' △종합토론으로 나뉜다.
세션 1에서는 △'한류 관점에서 본 문화다양성과 새 도약을 위한 과제'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 교수) △'케이팝과 문화다양성, 새로운 시대의 케이팝' (이규탁 한국조지메이슨대 교수) △'게임 한류, 다양성으로의 진전' (강신규 방송광고진흥공사 책임연구위원) 등 다양한 학계의 의견이 제시된다.
세션 2에서는 업계 등 현장 의견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케이팝 산업 속 문화다양성: 현황과 전망' (김윤하 대중음악평론가) △'게임과 D&I(다양성&포용) : 개념과 사례' (이경진 스마일게이트 D&I 실장) △'현지화 관점에서 본 문화다양성의 과제' (장민진 아이유노 법인장) 등의 발표가 이어진다.
김 평론가는 문화예술인, 팬덤, 컨텐츠 등 세 가지 핵심어로 케이팝 속 문화다양성을 진단한다. 이 실장은 자사 디앤아이실 설립 배경을 소개하며 문화컨텐츠의 사회적 영향력과 세계적 파급력에 대한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모두를 위한 즐거움(DELIGHT EVERYONE)'에 대한 가치를 설명한다. 장 법인장은 영상·자막 분야의 문화다양성을 논의한다.
특히 이번 토론회에서는 2023 글로벌 문화기획단 '아우르기'에 참여한 미얀마, 이탈리아, 이란 출신 유학생 세 명도 함께한다. 이들은 한류 수용성 확대를 위해 자국 문화와의 상호 교류, 타문화·인종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직접 경험한 한류에 대해 논할 예정이다.
용호성 문체부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은 "이번 토론회는 한류가 세계 문화 속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수용되는지를 깊이 있게 탐색하는 동시에, 한류 콘텐츠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립하는 소중한 논의의 장이 될 것이다"라며 "문화다양성은 한류의 정체성이자 지속 가능한 확장을 위한 중요한 지향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인생 네 권·독서 챌린지', 세계 책의 날 맞이 다양한 행사 열려
- 문체부, 만화·웹툰 작가 대상 '저작권 이야기 콘서트'
- 재단법인 국립극단 신임 단장 겸 예술감독 박정희 씨 임명
- '성인 절반은 책 안 읽는다'…문체부 '2023 독서실태조사' 발표
- '이순신 장군 등장 도박게임', 문체부 "차단 조치할 것"
- 문체부, 장애인의 날 맞이 청와대서 '전시·연주회' 연다
- 문체부, '대한민국 공공디자인 대상' 공모 실시
- 문체부, 생성형 인공지능(AI) 저작권 안내서 영문본 제작·배포
- 걸어서도·유아차도 OK, 서울시 '쉬엄쉬엄 한강 3종 경기' 23일 접수 시작
- '베꼈다 vs 다르다' 아이돌 콘셉트…'표절' '오마주' 기준은
- 문체부, 청년예술인 329명 키울 '청년 교육단원 발대식' 개최
- 국립한글박물관, 가정의 달 5월 맞이 지역순회전·공연 마련
- 조선왕실 문화부터 제주 해녀까지, 재외한국문화원 '전시회' 연다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중장년 맞춤 글쓰기·특강 프로그램 지원
- 문화체육관광부, '2024 한국방문의 해' 기념 환영주간 운영
- 코로나19 이후 한국 찾는 관광객 최대
- 문체부, '즐기고·거닐고·그리는 박물관·미술관' 주간 운영
- 문체부, '어린이·청소년극 맞춤 발전 방안' 논의 토론회 개최
- (사)한국뮤지컬협회, 우수 프로젝트 사업화 지원 공모 시작
- 문체부, 2024 상반기 걷기여행주간 운영
- 아이유, 어린이날 맞아 1억원 기부…"건강한 어른으로 자라길"
- 서울드라마어워즈, 48개국 346편 출품 접수 마감…역대 최대 규모
- 2028년 건립 '세종시 국립디자인박물관', 개관위원회 출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