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로고.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로고.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는 재단법인 국립극단과 함께 서울 중구 명동예술극장에서 오는 8일 '어린이·청소년극 활성화를 위한 현안과 과제' 토론회를 열어 어린이 청소년극의 현황 진단 및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고 2일 밝혔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해 아동 공연예술(대중예술 제외) 관람권 판매액은 총 753억원, 공연 횟수는 2만1천여 회로 각각 전체 공연의 11%, 21%를 차지했다. 이는 2022년 대비 각 18%, 7% 증가한 결과다. 분야별 상연 횟수 구성비는 뮤지컬 86%, 연극 9%, 서양음악(클래식) 1% 순으로, 전체 연령대 기준(연극 48%, 뮤지컬 38%, 서양음악(클래식) 8% 순)과 비교하면 뮤지컬 장르에 편중돼 있다.

더 나아가 '아동·청소년 공연예술 활성화 방안 연구'(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0)의 어린이·청소년 작품을 공연한 116개 단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해당 단체들이 공연한 작품의 주된 관객 연령층은 5~7세가 전체의 44%, 초등학교 저학년이 34%, 초등학교 고학년이 9%, 중학생이 4%, 고등학생이 3%였다. 주로 저연령대 아동·어린이 위주의 공연이 창·제작되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공연은 적음을 알 수 있다.

'2023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결과에서도 청소년들의 공연 관람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데 청소년들은 공연 관람 의향보다 경험이 매우 낮았다. 15세 이상 19세 미만 청소년의 94%, 96%는 각각 지난 1년간 연극, 뮤지컬 관람 경험이 없다고 답변했는데 연극, 뮤지컬 관람 의향률은 14%, 15%로 나타났다.

이에 이번 토론회에서는 공연예술 현장 전문가들과 함께 어린이·청소년극의 현안을 살피고 의논한다. 토론회는 △최영애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의 '국립어린이청소극단 창단 필요성' 발표 △송인현 극단 '민들레' 예술감독의 '어린이와 예술가가 행복한 공연문화 만들기' △방지영 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한국본부 이사장의 '어린이·청소년극의 전국적 확산과 국제 위상 강화 방안' △김자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본부장의 '미래 관객 개발을 위한 협력 방안 발표' △남인우 극단 '북새통' 대표 및 이미라 극단 '랄랄라' 대표의 토론 등이 진행된다. 토론회 사회는 배우 안승균이 맡는다.

토론회는 국립극단 누리집을 통해 사전에 신청하면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잔여석이 있는 경우 현장에서도 참여할 수 있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어린이·청소년은 성장단계에 맞는 다양한 공연예술을 향유할 권리가 있는데, 우리가 그간 그들의 눈높이에 맞춰 함께 호흡할 수 있는 무대를 충분히 만들어 왔는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번 토론회에서, 미래의 뛰어난 연출가, 배우, 그리고 관객으로 자라날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