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비 한국 방문 외국인 관광객 월별 회복률 그래프.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코로나19 대비 한국 방문 외국인 관광객 월별 회복률 그래프.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우리나라를 찾은 관광객이 약 340만 명으로 코로나19 이후 분기 단위 최대 규모·월별 최고 규모를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문체부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방한 관광객은 340만3000명, 이 중 3월 방한 관광객은 149만2000명이다. 분기별 방한 관광객 수는 지난 2019년 1분기 384만 명에 비해 88.6% 회복했고, 3월 방한 관광객은 2019년 같은 기간에 비해 97.1% 회복해 월별 회복률 최고치를 돌파했다. 특히 3월 4주 방한 관광객은 약 33만 명을 기록해 2019년 대비 회복률 100.2%를 달성했다.

10대 주요 방한 시장(△중국 △일본 △미국 △대만 △홍콩 △태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도 절반이 2019년 같은 기간에 비해 방한 규모를 넘었다. 대만은 108.8%에 달하는 30만6000명이 방한했고, 미국은 119.3%에 달하는 24만4000명, 베트남 11만명(100.4%), 싱가포르 6만8000명(163.3%) 등 코로나19 이전 방한 관광객 추이를 넘어선 회복세를 보였다.

중국·일본 등도 방한 관광객 회복세가 뚜렷하다. 중국은 2024년 1분기 101만5000명이 방한했다. 중국은 지난해 2월 해외여행을 재개했으며, 이에 따라 지난해 방한객이 201만명을 기록했던 것에 비하면 고무적이다.

일본은 1분기 기준 66만6000명이 방한했으며 이 중 3월에 방한한 관광객은 34만명이었다. 문체부는 오타니 쇼헤이 선수의 국내 메이저리그 개막전 출전과 일본 내 봄방학을 맞이해 2월 방한객 수인 18만 명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메이저리그 서울 시리즈 개막 전 스페셜 게임을 앞둔 지난 3월 16일에는 일일 일본인 방한객 1만3000명을 기록해 1분기 평균 일일 일본인 방한객 규모인 7천300명을 2배 가까이 넘기기도 했다.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곳은 미주·유럽 등 신흥시장이었다. 2024년 1분기 방한 관광객은 호주 5만1000명, 프랑스 2만7000명, 독일 3만2000명을 기록해 각각 2019년 1분기 대비 146%, 142%, 130% 회복세를 보였다. 홍보지점을 설치해 새로운 방한 관광시장을 개척 중인 이탈리아와 스웨덴의 방한 관광객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2%, 41% 늘었다.

가장 오래 한국에 체류하는 방한 관광객도 미국인 관광객들이었다. '한국관광 데이터랩'의 KT 외래객 방문자 이동 데이터를 활용해 체류 기간을 분석한 결과 미국인 관광객은 평균 12~14일 체류하며 아시아 근거리 방한객의 평균 체류기간인 3~4일보다 약 3~4배 이상 길게 여행했다. 국적별 선호 방문지도 중국인은 제주도, 미국인은 경기도 선호도가 높았다.

문체부는 향후 4월 27일부터 5월 6일까지 해당되는 일본 골든위크를 비롯해 중국 노동절(5월 1일~5월 5일) 등 기간 특수로 방한 관광객이 더욱 늘 것이라 예상한다. 일본 여행사 HIS의 집예에 따르면 크루즈 운항 등 일본인 관광객의 제주도 예약은 지난해에 비해 1502.1% 늘어 일본 내 해외여행 목적지 중 전년 대비 성장률 1위를 기록했다.

문체부는 이에 따라 중국·일본 등 성숙시장을 대상으로 주요 방한층인 20·30대 여성 외에도 연령대 다변화와 성별 균형, 스포츠 관광·교육여행 등 콘텐츠 다변화를 추진하고, 미주·유럽 등 신흥 시장은 현지 밀착 마케팅을 강화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