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시대·대한제국기 조명기구의 조사 결과를 수록한 '조명기구'와 숙종과 고종 연간에 각각 편찬된 '궁궐지'를 최초로 한글로 번역한 고문헌국역총서 '국역 궁궐지-숙종 연간'·'국역 궁궐지-고종 연간'을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국립고궁박물관의 소장품 도록 제18책 '조명기구'는 조선시대 등잔대, 촛대, 좌등, 초롱·등롱, 괘등 등 전통식 조명기구 43점과 개항 이후 유입됐던 서양식 촛대, 석유등, 전등기구 등 근대 조명기구 52점, 총 95점의 사진과 해설 등 기본 정보를 담았다.
초·석유·전기 등 광원별로 유물을 구분하고 구조를 설명해 입체적으로 유물을 이해할 수 있으며, 조명기구가 그려진 의궤 등 문헌자료와 근대기 궁궐 사진에 나타난 조명기구의 모습을 함께 제시해 조명기구가 본래 사용됐던 장소와 용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샹들리에와 등갓, 조명 부속품 등 근대 조명기구 중에서 1900~1910년경에 미국의 발명가 에디슨이 창립한 제너럴 일렉트릭에서 제조한 이화문 샹들리에는 표면의 황금색 안료와 전구를 끼우는 소켓에 새겨진 상표, 당대에 발행된 신문 자료 등을 토대로 유입 초기인 1904년경 덕수궁 돈덕전 접견실 회랑에 설치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샹들리에 가지 덩굴마다 대한제국 황제의 문장인 이화문이 장식돼 있어 주문 제작된 상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외에도 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기에 걸쳐 사용된 여러 조명기구에 대한 다양한 주제의 칼럼과 논고도 도록에 함께 수록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앞으로도 조선시대 왕실 문화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고, 이를 국내·외에 널리 공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홍보대사에 배우 김영민
- 고양 서오릉·김포 장릉, 2월부터 오전 7시 개방
- 문화재청, 국가유산 산업 인턴 100명 공개 모집
- ‘50여년 옥 공예’ 김영희 씨,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된다
- 문화재청, ‘근현대 무형유산 제도’ 도입 추진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선정 시 3년 연속 지원
- 국가유산 풍수해 피해 막는다…집중 안전점검 실시
- 1550년 전 신라공주의 일상, 8종 삽화로 만난다
- 50년 미만 현대문화유산도 보호…‘예비문화유산’ 제도 시행
- 기후변화로부터 국가유산 지킬 기술개발 공모
- 17세기 중건 양식 간직한 ‘서산 문수사 극락보전’ 보물 된다
- 창경궁서 미디어아트 즐겨볼까…야간탐방 ‘물빛연화’ 신설
- 문화재청, 찾아가는 국가유산 디지털체험관 24→60곳 확대
- 문화재청, 3년 연속 재난대응 안전훈련 평가 우수기관
- '문화재청→국가유산청' 명칭 변경…정부조직법 국회 통과
- 박물관‧미술관 직업의 세계는? 현직자 10인 멘토링 나선다
- '전의 비암사 청한당탑' 세종 문화유산 지정
- 대형 불화 '괘불'의 지역별 특징은…국·영문 보고서 발간
- 국가유산에서 즐거운 설 연휴를…4대궁·왕릉 무료 개방
- 조선시대 서울 집값은? 300년 전 부동산 매매문서 공개
- 궁중문화축전 주요 프로그램 감독에 박동우·송재성·구병준
- 국립광주박물관, 쌍사자 석등·초의선사 연구 성과물 발간
- 서울역사박물관, 약자 편의·친환경 전시 강화
- 美 보스턴미술관 소장 '고려 사리', 100년 만에 귀환
- '문화유산 방재의 날' 기념…재난안전 유공자·공모전 시상
- 겨울밤 덕수궁서 즐기는 국악의 향연…'덕수궁 야연' 개최
- 국립청주박물관, 고양이 뮤지·엄지 이모티콘 무료 배포
- 문화재청 "전통공예, 맞춤형 체험교육으로 배우세요"
- 서울역사박물관 백인제가옥 관람객 3명 중 1명 외국인
- 덕수궁서 만나는 경기민요…남성 소리꾼 5인의 흥과 멋
- 이집트 문화유산 보존·관리 지원…문화재청, 52억원 투입
- 문화재청, 문화유산 돌봄사업 종사자 역량 강화 교육
- 터널 공사 중 발견된 1800m 분덕재 동굴, 천연기념물 됐다
- 초려 이유태 선생 유물, 세종시 품으로…211점 기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