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도록 제18책 '조명기구'. 사진=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도록 제18책 '조명기구'. 사진=문화재청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시대·대한제국기 조명기구의 조사 결과를 수록한 '조명기구'와 숙종과 고종 연간에 각각 편찬된 '궁궐지'를 최초로 한글로 번역한 고문헌국역총서 '국역 궁궐지-숙종 연간'·'국역 궁궐지-고종 연간'을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국립고궁박물관의 소장품 도록 제18책 '조명기구'는 조선시대 등잔대, 촛대, 좌등, 초롱·등롱, 괘등 등 전통식 조명기구 43점과 개항 이후 유입됐던 서양식 촛대, 석유등, 전등기구 등 근대 조명기구 52점, 총 95점의 사진과 해설 등 기본 정보를 담았다.

초·석유·전기 등 광원별로 유물을 구분하고 구조를 설명해 입체적으로 유물을 이해할 수 있으며, 조명기구가 그려진 의궤 등 문헌자료와 근대기 궁궐 사진에 나타난 조명기구의 모습을 함께 제시해 조명기구가 본래 사용됐던 장소와 용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샹들리에와 등갓, 조명 부속품 등 근대 조명기구 중에서 1900~1910년경에 미국의 발명가 에디슨이 창립한 제너럴 일렉트릭에서 제조한 이화문 샹들리에는 표면의 황금색 안료와 전구를 끼우는 소켓에 새겨진 상표, 당대에 발행된 신문 자료 등을 토대로 유입 초기인 1904년경 덕수궁 돈덕전 접견실 회랑에 설치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샹들리에 가지 덩굴마다 대한제국 황제의 문장인 이화문이 장식돼 있어 주문 제작된 상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외에도 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기에 걸쳐 사용된 여러 조명기구에 대한 다양한 주제의 칼럼과 논고도 도록에 함께 수록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앞으로도 조선시대 왕실 문화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고, 이를 국내·외에 널리 공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문화재청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