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응천 문화재청장의 대전 수운교 봉령각 주변 호우피해 담장보수 현장 점검 모습. 사진 제공=문화재청
최응천 문화재청장의 대전 수운교 봉령각 주변 호우피해 담장보수 현장 점검 모습. 사진 제공=문화재청

문화재청은 올해 국가유산의 풍수해 피해 대비 안전점검을 강화하고, 기후변화에 취약한 국가유산을 선제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기반마련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풍수해 피해로부터 국가유산의 피해 예방과 최소화를 위해 장마·집중호우·태풍이 본격적으로 발생하기 전인 5~6월을 ‘풍수해 예방 특별 안전점검’ 기간으로 설정하고, 국가유산 유형별 안전점검 담당 부서를 지정해 집중적인 점검을 실시한다.

이번 안전점검에서는, 지난해 실시한 ‘국가유산 유형별 풍수해 예방전략 마련 연구’를 통해 새롭게 마련된 점검표를 사용한다. 공통점검표는 국가유산 전체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피해에 대해, 맞춤점검표는 풍수해 피해가 많은 4가지 유형(목조, 석조, 자연유산, 능·분·묘)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피해에 대해 예방할 수 있는 점검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안전점검 결과에 대한 담당부서별 신속한 후속 조치를 통해 풍수해 피해에 대한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문화재청은 재해 피해를 입은 국가유산을 사후에 보수·정비하는 방식을 넘어, 기후변화에 취약한 국가유산을 사전에 보호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8년까지 ‘취약지역 국가유산 보호사업(1단계)’을 추진한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 전국의 취약지역에 위치한 국가유산 약 360여건을 실태조사하고 적절한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2025년에는 시급히 조치가 필요한 국가유산 10건을 선정해 보존관리를 위한 방재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2026년부터 2028년까지 총 60여 건의 국가유산에 대한 방재 사업을 시행한다. 1단계 사업 완료 후에는 사업 결과와 성과를 반영해 지속사업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키워드
#문화재청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