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은 찾아가는 국가유산 디지털체험관을 24곳에서 60곳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한국문화재재단과 올해 총 27억원을 투입해 도서·벽지 등 디지털 소외지역에 위치한 학교와 장애인·노인 복지기관 등을 직접 찾아가서 국가유산 체험기회를 제공하는 ‘찾아가는 국가유산 디지털체험관-이어지교’를 운영한다.
올해는 수혜대상을 기존 24곳에서 60곳으로 확대하고,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적용시킨 맞춤형 콘텐츠를 대폭 보강해 운영한다.
자막, 수어, 음성 등이 포함된 다감각적 학습도구와 증강현실(AR), 360도 입체영상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제작한 디지털 국가유산 부도, 촉각패드와 점자 그림책, 촉각교구 등과 같이 국가유산 설명 정보를 청각과 촉각 정보로 변환한 감각콘텐츠 등을 활용해 궁궐과 왕릉, 석굴암과 불국사, 도산서원 등 대표적 국가유산 유적지를 직접 답사하는 것과 같은 생생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박물관에 가보지 않고도 상감청자, 금동대향로 등 국보급 유물에 얽힌 이야기를 다양한 감각을 통해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다. 참가자들에게는 교육영상, 증강현실 교구재, 학습활동지, 전통놀이 등 다양한 국가유산 교육 콘텐츠를 담은 디지털 교육상자도 제공된다.
이달 중 공모해 경기도(북부), 강원도 등 각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특수학교, 복지기관 총 60곳을 내달 최종 선정하고, 3월부터 11월까지 단계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은 “앞으로 국민 누구나 차별받지 않고 국가유산을 보편적으로 누려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국가유산 교육과 활용 정책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문화재청, 3년 연속 재난대응 안전훈련 평가 우수기관
- 문화재청, 국가유산 사업체 대상 ‘문화재산업조사’ 첫 실시
- 궁궐서 왕릉 오가는 경로 한눈에…조선 능행 연구서 발간
- 국가유산 내 주민거주 지역 환경 개선…10억원 투입
- ‘부안 내소사 동종’ 국보 지정 기념행사 9일 개최
- 문화재청, 국가유산 보존·복원 이어 방재기술 개발 확대
- 인간문화재 이영희 기부 토지에 국가전수교육관 건립 추진
- 경기아트센터, 산하 예술단 신임 예술감독 3인 임명
- 사회적 배려 대상자에 전통혼례·돌잔치 무료 지원
- ‘낙서 테러’ 경복궁 담장 복구…문화재청 “손해배상 청구”
- 창경궁서 미디어아트 즐겨볼까…야간탐방 ‘물빛연화’ 신설
- 17세기 중건 양식 간직한 ‘서산 문수사 극락보전’ 보물 된다
- 기후변화로부터 국가유산 지킬 기술개발 공모
- 50년 미만 현대문화유산도 보호…‘예비문화유산’ 제도 시행
- 1550년 전 신라공주의 일상, 8종 삽화로 만난다
- 국가유산 풍수해 피해 막는다…집중 안전점검 실시
-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선정 시 3년 연속 지원
- 문화재청, ‘근현대 무형유산 제도’ 도입 추진
- ‘50여년 옥 공예’ 김영희 씨,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된다
- 문화재청, 국가유산 산업 인턴 100명 공개 모집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홍보대사에 배우 김영민
- 등잔대·촛대·석유등…조선·대한제국기 조명기구 한눈에
- 박물관‧미술관 직업의 세계는? 현직자 10인 멘토링 나선다
- 조선시대 서울 집값은? 300년 전 부동산 매매문서 공개
- 국립광주박물관, 쌍사자 석등·초의선사 연구 성과물 발간
- 서울역사박물관 백인제가옥 관람객 3명 중 1명 외국인
- 초려 이유태 선생 유물, 세종시 품으로…211점 기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