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역사박물관은 소장유물자료집14 '조선후기 한성부 토지·가옥 매매문서1'을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자료집에는 조선후기 서울의 중부와 동부 지역에서 거래된 토지와 가옥 매매문서 304점이 수록됐다. 소장유물자료집에는 장기간 거래된 문서가 다수 수록돼 주목된다. 동대문 밖 농지를 거래한 문서는 36점의 문서가 연결돼 길이만 12m에 이른다. 1609년부터 1765년까지 150년 동안 토지를 거래한 이력과 토지 소유자를 확인할 수 있다.
효령대군 후손이 소유했던 종로의 기와집은 180년 동안 거래된 이력이 남아있다. 1724년의 집값은 은화 300냥(동전 약 600냥에 해당)이었는데, 19세기 중반까지 서서히 상승하더니, 19세기 말에 이르러 동전 2만8000냥으로 폭등했다. 한성부 집값 상승과 조선 말기의 인플레이션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노비가 자신의 집을 매도하는 사례도 있어 흥미롭다. 신분을 사비(개인 소유의 여종)로 기록한 효생이라는 인물은 지금의 종로 공평동 부근에 기와 5칸, 초가 3칸의 집을 소유했다가 은화 150냥에 매도했다. 노비가 경제활동을 했을 뿐 아니라 상당한 재산을 소유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자료집을 살펴보면 노비 외에도 여성, 군인, 중인 등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이 부동산을 거래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도 부동산은 백성들의 가장 중요한 재산이었다. 때문에 부동산을 매매할 때 반드시 계약서를 작성했 소유권 이전을 분명히 했다. 또한 한성부에서는 부동산 거래를 관리하기 위해 거래 당사자와 증인에게 사실을 확인하고 공증문서를 발급했다.
부동산 매매과정은 문서로 작성해 소유주가 보관했다가 매도할 때 새로운 계약서에 이어붙여 매수인에게 양도했다. 이 문서들은 매물의 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이력서이자 당시 사람들의 경제활동 기록이 고스란히 담긴 역사자료가 된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는 금년 중으로 한성부 서부·남부·북부 소재 토지·가옥 매매문서 200여점을 수록한 소장유물자료집 2편을 이어서 발간할 예정이다. 소장유물자료집은 서울역사박물관 내 기념품점과 서울특별시청 지하에 있는 서울책방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서울역사박물관 누리집에서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 대형 불화 '괘불'의 지역별 특징은…국·영문 보고서 발간
- '전의 비암사 청한당탑' 세종 문화유산 지정
- 박물관‧미술관 직업의 세계는? 현직자 10인 멘토링 나선다
- 등잔대·촛대·석유등…조선·대한제국기 조명기구 한눈에
- 문화재청, 국가유산 산업 인턴 100명 공개 모집
- 국립한국문학관 올해 초 착공…문체부, SH공사와 업무협약
- 디지털로 재탄생한 K-문화유산…필리핀에 선보인다
- 끝나가는 겨울방학, 아이와 함께하는 '체험형 전시' 어디?
- 인생 ‘영화 대사’ 한눈에…영상자료원 ‘대사극장’ 전시
- “문화로 지역균형발전 이끈다” 문체부 정책사업 설명회
- 문화재청, 찾아가는 국가유산 디지털체험관 24→60곳 확대
-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소장자료 연구총서 발간
- 국립부여박물관 “‘두번째 달’ 공연, 집에서 즐기세요”
- 국립중앙박물관 기증관 재개관…국보 ‘세한도’ 등 전시
- 국립광주박물관, 쌍사자 석등·초의선사 연구 성과물 발간
- 서울역사박물관, 약자 편의·친환경 전시 강화
- 서울역사박물관-한국유교문화진흥원, 유교문화 특별전
- 부산의 자부심 담았다…'2023 갓생림픽' 전자책 발간
- 국립청주박물관, 고양이 뮤지·엄지 이모티콘 무료 배포
- 서울역사박물관 백인제가옥 관람객 3명 중 1명 외국인
- 부산 대표 맛집 144곳은 어디?…'부산의 맛' 가이드북 발간
- 초려 이유태 선생 유물, 세종시 품으로…211점 기증
- 백제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는…한성백제박물관 8일 학술회의
- 국립한글박물관, 초중고 대상 한글문화 체험교육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