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공항에서 백제의 문양전을 만날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국립부여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과 함께 인천국제공항 인천공항박물관에서 ‘백제 명품, 백제 문양전’ 특별 전시를 선보인다고 17일 밝혔다.
2024년 3월29일까지 계속되는 이번 전시는 최근 국외 전시 출품 순위에서 압도적 1위(22회, 1960~2019년)를 차지한 백제 문양전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보물로 소개하고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특별전은 백제인의 빼어난 감각과 고난도의 기술력으로 탄생시킨 8종류의 문양전을 진품으로 선보인다.
백제인들은 산수, 연꽃, 구름, 봉황, 용, 도깨비를 소재로 다양한 문양전을 만들었다. 그중 산과 나무, 하늘과 물, 누각과 사람을 한 폭의 그림처럼 표현한 산수무늬 벽돌은 마치 한 폭의 산수화를 옮겨놓은 듯 정교하게 새겨져 있다.
특별전은 크게 ‘백제 문양전의 발견’, ‘백제 문양전의 특징’으로 구성됐다. ‘백제 문양전의 발견’에서는 1937년 충남 부여군 규암면 외리에서 농부에 의해 최초 발견된 백제 문양전의 역사를 소개한다. 조선총독부에 의해 보름 만에 긴급 조사된 발굴 이야기와 문양전 150여점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촬영된 유리건판 사진을 함께 소개하여 문양전 발견 당시의 생생한 모습을 느낄 수 있다.
‘백제 문양전의 특징’에서는 그 자체로도 아름다운 백제 문양전이 배열과 조합에 따라 2종 또는 4종으로 짝지어지는 독특한 구성을 소개한다. 산수무늬·산수봉황무늬 2종의 벽돌을 나란히 배열하면 세 봉우리의 바위가 산 모양을 이루고, 용무늬·봉황무늬·연꽃무늬·연꽃구름무늬 4종의 벽돌을 모으면 중앙에 하나의 꽃잎이 형성되는 모습은 백제 문양전만의 특별한 아름다움과 구조적 독창성을 음미할 수 있다.
국립부여박물관은 “백제인들이 품었던 이상향의 세계 ‘백제 명품, 백제 문양전’ 특별전을 인천국제공항에서 소개하게 되어 더욱 뜻깊다. 신선이 사는 세계를 꿈꾼 백제인의 공간에서 여행의 설레임과 함께 잠깐의 휴식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왕실 장식기와의 연구 성과와 과제는…한·중·일 학술대회
- 음악회부터 식물재배까지…"쉼 있는 한양도성으로 오세요"
- 다시 마주한 우리 땅…日서 환수한 ‘대동여지도’ 전시
- 서울공예박물관, 근현대 나전칠공예 희귀자료 최초 공개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과학센터’ 착공…2025년 개관
- ‘국내 최초’ 야구박물관, 부산 건립 본격화…26년 개관 목표
- 미래세대 문화정책 담아낼 교류의 장…‘청년문화주간’ 개최
- 45개국 재한외국인 201명, K-관광 전 세계에 알린다
- 대학 박물관에 묻혀 있던 유물, 세상 밖으로…전시 개최
- K-컬처 유럽 전진기지…스웨덴·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개원
- 함금자·손민영 등 ‘자랑스런 박물관인상’ 수상
- “보물 ‘자수가사’ 보러 오세요”…40년 만에 공개
- 13개국 문화예술·콘텐츠 인사 15명 방한…K-컬처 체험
- 한국문화정보원, ‘집콕+집밖 문화생활 특별전’ 운영
- 전시부터 축제까지…‘다시, 향교로를 걷다’ 미디어展
- 한성백제박물관·롯데월드 등 ‘송파구 문화기관 협의회’ 설립
- 백제인도 구구단을 외웠다고? 부여박물관, 목간 특별전
- 서울역사박물관-서울시향, 26일 ‘뮤지엄 콘서트’ 개최
- 한성백제박물관, 고려청자 13점 등 새 소장품 공개
- 한성백제박물관, 한국현대중국연구회와 MOU 체결
- 산불로 대피했던 ‘강릉 경포대’ 현판 7기 제자리로
- 추사 김정희의 마지막 난초 그림 보물 된다
- 백제문화유산주간, 공주·부여·익산서 7월 개최
- 백제인 발자취 따라…‘사비왕궁 함께 걷기 챌린지’ 개최
- 국립중앙박물관서 즐기는 파키스탄의 리듬…11일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