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안수사명 동종’. 사진 제공=부산시

12세기 말에 제작된 ‘상주 안수사명 동종’이 부산시 지정문화재로 지정됐다.

부산시는 ‘상주 안수사명 동종’ 등 6건을 부산시 지정문화재로 지정 고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로써 부산시 소재 지정문화재는 총 550건이 된다.

이번에 등록된 지정문화재로 시지정유형문화재가 3건(상주 안수사명 동종, 경국대전, 선종영가집), 시문화재자료가 1건(아미타여래회도), 시등록문화재가 2건(한일 외교 관련서 일괄, 부산항총무회소)이다.

부산박물관 소장 ‘상주 안수사명 동종’은 12세기 말에 제작된 고려시대 동종으로, 전형적인 한국 범종과 고려 범종의 양식적인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특히 종의 내력을 확인할 수 있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가치가 높다.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소장 ‘경국대전’은 1661년 간행된 6권4책의 금속활자 인출 완질본이다. 대원각사 소장 ‘선종영가집’은 1570년 경상도 지리산 신흥사에서 중간한 상하 2권1책의 목판본으로, 개판 시기와 지역, 장소와 함께 간행에 참여한 인물들을 확인할 수 있어 조선 중기 불교학, 서지학, 기록학 등 연구에 귀중한 자료다.

또한 정원사 소장 ‘아미타여래회도’는 조선후기 경상도 지역에서 유행했던 선묘불화의 전통을 잘 계승한 불화로서 학술적, 회화사적으로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됐다. 

‘한일 외교 관련서 일괄’은 ‘한국왕복추요서’, ‘신약후관리관여동래부사약조초’ 등을 포함한 12종42책으로 시기는 1867년부터 1909년까지 이른다. ‘조일수호조규’의 체결 이후 조선 정부와 교섭을 진행하던 시기에 생산된 문서들로, 조선과 일본 간의 교섭이 어떻게 진행됐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자료다.

‘부산항총무회소’는 개항 이후 근대적 상업기구로 그 시작을 연 부산항 객주도중이 설립한 기구 중 하나인 ‘부산항총무회소’의 규칙을 담은 문건으로, 1901년 제작된 객주회의소와 감리서 소장본 각 2책이다. 

키워드
#지정문화재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