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 빗장을 열다(대구광역시 북구). 사진 제공=문화재청
서원 빗장을 열다(대구광역시 북구). 사진 제공=문화재청

문화재청이 ‘2024년 지역문화유산 활용사업’ 대상으로 389건을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생생 문화유산’ 150건,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99건, ‘문화유산 야행’ 49건, ‘전통산사 문화유산 활용’ 46건, ‘고택·종갓집 활용’ 45건 등이다.

지역문화유산 활용사업은, 전국에 소재한 문화유산, 자연유산, 무형유산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과 결합해 국민의 문화향유 기회를 늘리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자 기획된 사업이다.

2008년 생생 문화유산 사업을 시작으로, 2014년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2016년 문화유산 야행, 2017년 전통산사 문화유산 활용, 2020년 고택·종갓집 활용 사업까지 분야를 확대해 왔다. 올해는 ‘기후변화 대응’을 주제로 공모했으며,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접수된 총 636건의 사업 중 콘텐츠 우수성과 사업운영 역량 등 심사를 거쳐 최종 389건의 사업이 선정됐다.

생생 문화유산 사업은 잠자고 있는 지역 문화유산의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발견하고 콘텐츠화해 문화유산이 역사 교육의 장이자 지역의 대표적인 관광자원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기획한 프로그램이다. 부여동헌에서 피우는 문화향기(충남 부여군), 기억! 제주해녀문화(제주) 등 139건의 기존 사업에 동관왕묘가 들려주는 세 가지 이야기(서울 종로구), 송나라 사신처럼 그대, 선유도 오셨네(전북 군산시), 삼강주막 주모요 잘~ 지내시니껴!!(경북 예천군) 등 11건의 신규사업이 추가됐다.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사업은 향교·서원을 생기 넘치는 문화공간이자 인문정신과 청소년 인성을 함양하는 공간으로 조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서원 빗장을 열다(대구 북구), 선비마을 선비의 품격(경남 창원시) 등 88건의 기존 사업에 더해 선비의 배움터 여주향교(경기 여주시), 내일을 여는 보은향교(충북 보은군), 시·공간의 기억, 광양향교(전남 광양시) 등 11건의 사업이 새로 선정됐다.

문화유산 야행사업은 지역에 집적된 문화유산과 그 주변의 문화 콘텐츠를 하나로 묶어 야간에 특화된 문화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15개 시‧도의 49개 사업이 선정됐다. 수원·청주·순천 문화유산 야행 등 올해 또는 전년도에 지원된 43건에 더해 죽서야행, 관동제일이夜!(강원 삼척시), 계양 문화유산 야행(인천 계양구) 등 6건이 새로 추가됐다.

전통산사 문화유산 활용사업은 사찰이 보유한 문화유산과 역사문화자원 등을 활용해, 전통산사의 문화유산적 가치와 의미를 체험·공연·답사 등의 형태로 풀어낸 산사문화 향유 프로그램이다. 청계사 이야기 인쇄소(경기 의왕시), 호랑이는 석장승을 등에 업고(전남 나주시) 등 42건의 기존 사업과 더불어 대웅大雄, 위대한 영웅을 찾아서!(부산 금정구), 전등사 명부전, 아름다운 삶을 비추다(인천 강화군) 등 4건의 신규 사업이 새로 이름을 올렸다.

고택·종갓집 활용사업은 고택‧종갓집의 지역 관광자원화를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총 60건의 신청 중 45건을 선정했으며 푸른미래 서천 이하복고택(충남 서천군), 임청각에서 나라사랑 정신을 배우다!(경북 안동시) 등 37건의 기존 사업에 더해 꿈꾸는 고헌고택(울산 북구), 북쌍리 우구정 가옥 구들장 체험(강원 영월군) 등 8건의 신규 사업을 선정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