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등 국보·보물 대형불화의 원형 자료와 채색 정보가 수록된 보고서가 발간됐다.
문화재청은 국립문화재연구원, 대한불교조계종, 사단법인 성보문화재연구원과 함께 2015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의 2022년 성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8일 밝혔다.
대형불화(괘불도)란 야외에서 거행되는 영산재, 수륙재 등 대규모 불교의식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한 불화를 말한다. 보통 10m가 넘는 압도적인 크기와 화려한 색채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우리나라의 독창적인 불교문화유산으로 평가받는다.
이번 정밀조사 사업은 대형불화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불의의 사고에 대비한 복원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시작됐다. 조사한 괘불도는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국보) ▲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보물) ▲진천 영수사 영산회 괘불탱(보물)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보물) ▲통영 안정사 영산회 괘불도(보물) ▲적천사 괘불탱 및 지주(보물) 등 총 6건이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이번 조사에서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의 문양 및 장신구 등에서 금박과 함께 많은 은박이 사용된 사실을 확인했다. 그간 일부 괘불도에서 은박이 한정적으로 사용된 것은 확인되었으나,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의 경우 특히 사용 범위가 넓어진 것으로 보아 부족한 금박을 대신하는 보완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의 변아(가장자리)에 불화에 생명력과 신성성을 불어넣는 복장의 의미로 기록된 범자를 확인했다. 특히 해당 범자는 현존하는 괘불도 중에서 가장 이른 예로, 이를 판독하여 확인한 진언과 도판을 이번 보고서에 수록했다.
- 200년 전 조선왕실 밤 잔치…21일 창경궁서 재현
- ‘다양한 가치, 다함께 같이’…문체부, ‘문화다양성 주간’ 개최
- 왕실 장식기와의 연구 성과와 과제는…한·중·일 학술대회
- 다시 마주한 우리 땅…日서 환수한 ‘대동여지도’ 전시
- 서울공예박물관, 근현대 나전칠공예 희귀자료 최초 공개
- 조선왕릉 홍유릉 둘러보며 역사 해설 듣고 공연까지
- 무형문화재 ‘고성농요’ 김석명, 명예보유자 인정
- 신진작가 상상력으로 변신한 전통가옥…‘이상한옥’ 전시
- 세종대왕 탄신 626돌…15일 숭모제전·영릉 무료 개방
- 가야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유력
- 6인 6색 청년작가들의 만남…‘달마가 서촌으로 온 까닭은’展
- 자연 속 역사 체험…조선왕릉 숲길 9곳 한시 개방
- 도난당한 불교 문화유산, 제자리로…문화재청, 조계종에 반환
- ‘조선 기록문화의 꽃’ 의궤, 실감콘텐츠로 만난다
- 강화 ‘하점면 사직골 고택’, 시 등록문화재 등록
- 사기장·매듭장의 작업, 무대 위로…서울·베를린 공연
- 천연기념물센터, ‘어린이 해설사’ 3년 만에 재개
- 광화문 앞 공간, 조선 전기부터 활용…유물 추가 발굴
- 문화유산 수리 현장 공개…서산 해미읍성 등 14곳
- 산불로 대피했던 ‘강릉 경포대’ 현판 7기 제자리로
- 추사 김정희의 마지막 난초 그림 보물 된다
- 박팽년·성삼문·김종서 등 40인 조명…‘세종인물여행’ 발간
- 日 반출됐던 국보 ‘원주 지광국사탑’, 112년 만에 귀향
- 임진왜란 생생히 기록한 ‘용사잡록’ 번역 발간
- ‘부안 내소사 동종’ 국보 지정 기념행사 9일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