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물 자수가사(刺繡袈裟)가 40년 만에 공개된다.
서울공예박물관과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오는 23일부터 25일까지 대전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서 자수가사 보존처리 현장 공개행사를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자수가사는 25조(條)로 이루어진 불교 승려의 예복으로 예불을 위해 제작된 것이다. 이 가사는 불교에서 말하는 ‘세 가지 보물(부처·경전·존자)’ 125개의 도상을 다양한 색실과 자수기법으로 정교하고 아름답게 수놓은 것으로, 현존하는 유사사례가 매우 드물어 1979년 보물로 지정됐다.
자수가사는 지난 40여년 간 액자에 넣어져 보관되면서 원형이 일부 훼손되었으나, 서울공예박물관에서 2018년 한국자수박물관 관장 고 허동화(1926~2018) 선생으로부터 기증받아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 보존처리를 의뢰, 2019년부터 3년여에 걸쳐 ‘액자 속 그림’이 아닌 ‘옷’으로 복원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
이번 공개행사에서는 직물보존처리 현장에서 자수가사를 실견하면서 과학적분석과 그 처리과정에 대한 전문가 설명을 들을 수 있고 자수가사 보존처리 과정마다 보존과학자의 노력과 고민의 순간을 전시로 풀어낸 ‘보물 자수가사 프로젝트 : 보존과학자의 1492일’ 성과 전시도 관람할 수 있다.
자수가사는 1978년 국립중앙박물관이 기획한 특별전시 ‘한국의 자수’에 출품된 후 1979년 보물로 지정됐고, 이후 한 번도 공개되지 않았다. 오는 12월 가사로의 복원이 완료되면 그간의 연구성과를 책자로 발간하고 학술심포지엄과 특별전 개최 등 자수가사의 가치를 재조명할 계획이다.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은 “현존하는 사례가 몇 없는 ‘보물 자수가사’를 최초로 공개하게 되어 뜻깊다”라며 “전통 자수와 바느질 기법의 집약체인 ‘보물 자수가사’를 통해 우리 공예의 미학을 가까이서 관찰하는 뜻깊은 경험을 가지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서울공예박물관, 어린이 위한 ‘토끼와 호랑이’ 체험 전시
- 박물관 보고 선물도 받고…6개 기관 ‘스탬프 투어’
- 한국도자재단, 공예 시제품 개발부터 양산까지 돕는다
- 한국도자재단, ‘행복한 공예 교육’ 수혜 기관 모집
- “광화문광장서 서울 체험하고 벨리곰도 만나세요”
- 도자부터 서예까지…전통문화대 박물관, 기증품 특별전
- 문체부, 장애예술인 공예품 판매 공간 마련
- 미리 보는 도자기 트렌드…경기도자페어 특별관 개최
- 연령‧성별‧국적‧장애 경계 잇는 ‘공공디자인’ 찾아요
- 문화재청, 키르기즈공화국과 문화유산 교류 협력키로
- 옻나무는 어떻게 나전칠기에 쓰이는 공예재료가 되었나
- 한복 전시부터 모란 심기 체험까지…창경궁 문화행사
- 서울공예박물관 “학예사와 온라인 전시투어 떠나요”
- 서울공예박물관, 공예 애호가 위한 마스터클래스 개설
- 함금자·손민영 등 ‘자랑스런 박물관인상’ 수상
- 6인 6색 청년작가들의 만남…‘달마가 서촌으로 온 까닭은’展
- 신진작가 상상력으로 변신한 전통가옥…‘이상한옥’ 전시
- ‘국내 최초’ 야구박물관, 부산 건립 본격화…26년 개관 목표
- 회화부터 그래피티까지…아티스트들이 찾은 진정한 ‘나 다움’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과학센터’ 착공…2025년 개관
- 서울공예박물관, 근현대 나전칠공예 희귀자료 최초 공개
- 벽돌에 담긴 백제의 美…인천공항서 ‘문양전’ 특별 전시
- 전시부터 체험·강연까지…‘공예주간’ 19~28일 개최
- 서울역사박물관-서울시향, 26일 ‘뮤지엄 콘서트’ 개최
- 산불로 대피했던 ‘강릉 경포대’ 현판 7기 제자리로
- 추사 김정희의 마지막 난초 그림 보물 된다
- 박팽년·성삼문·김종서 등 40인 조명…‘세종인물여행’ 발간
- 임진왜란 생생히 기록한 ‘용사잡록’ 번역 발간
- 국립중앙박물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공연 28일 개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