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유산 수리 현장이 3년 만에 공개된다.
문화재청은 목조, 성곽, 고분 등 전국의 문화유산 수리 현장 14개소를 ‘중점 공개’ 대상으로 선정해 6월부터 12월까지 국민에게 공개한다고 31일 밝혔다. 2020년 코로나19로 중단한 이후 3년 만의 행사 재개다.
문화유산 수리 현장을 방문한 국민은 수리에 직접 참여한 기술자로부터 보수 사유와 방법에 대한 상세한 해설을 들으며 수리 과정을 직접 살펴볼 수 있으며, 지난 작업 과정에 대한 영상도 관람할 수 있다.
특히, 올해 공개 대상인 보물 ‘서울 문묘 및 성균관’의 대성전 지붕 보수 현장에서는 기와 지붕 속에 숨겨진 서까래와 추녀의 나뭇결을 만져보고, 목수들이 나무를 깎아 새 서까래를 만드는 과정도 지켜볼 수 있다.
또한 사적 ‘서산 해미읍성’ 제2포루 보수 현장에서는 뒷채움석 등 평소 접하기 어려운 성벽의 내부구조물을 살펴보고, 석공이 돌을 떼내고 다듬는 생생한 현장의 소리도 들을 수 있다. 관람을 원하는 국민은 문화유산 수리현장이 있는 각 지자체에 신청하면 된다.
문화재청은 “직접 방문하지 못한 국민들도 문화유산의 수리 과정을 관람할 수 있도록 현장의 주요 수리 과정 영상을 촬영하여 추후 문화재청이나 해당 지자체의 온라인 채널에 공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3년 만에 재개하는 문화유산 수리 현장 ‘중점 공개’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홍보 활동과 관람객 만족도 조사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우리 문화유산 수리 기술의 진정성과 가치를 공유하는 공감과 교육의 장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광화문 앞 공간, 조선 전기부터 활용…유물 추가 발굴
- 천연기념물센터, ‘어린이 해설사’ 3년 만에 재개
- 사기장·매듭장의 작업, 무대 위로…서울·베를린 공연
- ‘조선 기록문화의 꽃’ 의궤, 실감콘텐츠로 만난다
- 도난당한 불교 문화유산, 제자리로…문화재청, 조계종에 반환
- 일제강점기 훼철된 ‘덕수궁 돈덕전’ 재건 완료…9월 개관
- 4·19혁명·동학농민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문화재청, 국보‧보물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발간
- 200년 전 조선왕실 밤 잔치…21일 창경궁서 재현
- 왕실 장식기와의 연구 성과와 과제는…한·중·일 학술대회
- 다시 마주한 우리 땅…日서 환수한 ‘대동여지도’ 전시
- 집으로 배송되는 문화유산 도서, 신규 1만4000권 공개
- 동구릉 ‘비밀의 정원’ 열린다…17일 특별 개방
- 전남 해남서 고선박 추정 목선 발견…발굴조사 착수
- 해양문화유산 전문가 한자리에…태안 연구 주제 토론회
- 용인 보라동 등산로서 백제 한성기 고분 발견
- 비석의 용·거북, 어린이용 문화유산 학습콘텐츠로 재탄생
- 용암이 만들어낸 ‘연천 재인폭포’, 국가지정문화재 된다
- 문화재청, 군산에 수중고고학 인력 양성기관 건립 추진
- 앙코르 유적, 韓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 기술로 복원
- 산불로 대피했던 ‘강릉 경포대’ 현판 7기 제자리로
- 공주부터 제주까지…세계유산축전, 7~10월 개최
- 추사 김정희의 마지막 난초 그림 보물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