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카카오뱅크
사진제공=카카오뱅크

금융당국이 은행 이자장사 방지를 위해 완전 경쟁체제를 선언하고 타 금융사의 은행업무 진출 및 핀테크 사례를 청취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27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판교 테크노밸리에 위치한 카카뱅크 본사를 방문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카카오뱅크뿐만 아니라 케이뱅크, 토스뱅크, 네이버파이낸셜 핀다, 뱅크샐러드 대표가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장은 직접 인터넷전문은행 및 핀테크 기업의 금융상품 및 서비스 혁신 사례와 실제 사업 추진 과정상 에로사항을 청취했다.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는 기술주도 금융 혁신이 은행 산업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기존 은행의 디지털화를 앞당기거나 빅테크, 핀테크 기반 업체의 서비스 경쟁 등을 통해 더 나은 은행으로 변화하리라는 예상이다.

실제로 디지털 은행 출범, 플랫폼 기반 금융서비스 제공, 핀테크 기업의 금융업 진출 등은 범세계적인 현상이다.

이 원장은 "국내 금융산업의 더 나은 미래 모습에 대한 아이디어를 함께 고민할 수 있어 뜻깊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최근 기술 주도 금융혁신이 새로운 성장모델로 안정화되고 금융소비자 편익 증진으로 자리잡기 위해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한 포용, 사이버‧보안 위험성 관리 등 양적 성장에 걸맞은 내부통제 및 인프라 구축에 힘써 달라며 책임감 있는 금융혁신을 당부했다.

또한 "인터넷전문은행‧핀테크 기업이 우리나라 은행 산업의 경쟁을 촉진하는 ‘혁신 엑셀러레이터(accelerator)’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다각적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인터넷전문은행이 출범할 당시 은행계의 메기라고 불린 데다 실제로 다양한 세대의 고객을 빠르게 흡수하고 있는 만큼 은행 경쟁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여러 사례를 청취한 것으로 보인다.

이뿐만 아니라 금융당국은 보험사, 증권사의 은행 영역 업무 진출 허가를 검토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당국은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 및 제도개선 TF를 구성해 은행 영역인 지급결제, 예금·대출 분야에 보험, 증권사가 영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지난 22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예금·대출 등에 있어 실질적 경쟁을 촉진할 수 있도록 보험, 증권, 저축은행 등 다른 금융권의 적극적 동참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금융당국은 신규 업체 허가를 통한 경쟁 강화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을 고려해 2금융권에 인가 세분화를 통한 진입 허가를 고려 중이다.

금융당국은 "매주 실무 작업반 회의를 통해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오는 6월 말에는 확정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