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문화재청
사진 제공=문화재청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오는 20일 ‘가야 유리기(琉璃器) 기원, 유통 그리고 재활용-로만글라스 가야에 묻히다’를 주제로 국제학술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유라시아 각지에서 출토된 고대 유리기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해 가야 유리의 기원과 유입 경로, 그리고 유입 과정 중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는 재활용 가능성을 고고학과 분석과학적 측면에서 확인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4월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서 확인된 고대 유리 용기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했으며, 여러 곳에서 제작된 다양한 로만글라스 제품이 삼국시대 한반도에서 유통됐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특히, 유리기는 실크와 함께 유라시아를 왕래했던 주요 교역품으로, 당시 유라시아의 교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고대 유리기의 연구 현황과 전망’ 시간에는 초원로, 사막로, 해로 등 로만글라스의 다양한 이입 경로를 통해 유라시아사의 변화 이력을 해석해보고, 유라시아 동부로의 유리기의 이입과 배경, 고대 유리 연구방법을 논의하는 ‘고대 유리기의 고고화학적 분석법의 이해’를 주제로 기조 강연이 진행된다.

이어 ‘한반도 출토 고대 유리기’ 시간에는 로만글라스의 본 고장인 지중해 유역의 특징을 토대로 분석한 고대 한반도 유리기의 출토 양상과 그 특징,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출토된 ‘둥근 고리 장식 유리기’의 제작기법을 검증한 한반도 출토 고대 유리기의 과학적 분석 결과 발표가 진행된다.

또한 동북아시아부터 유라시아까지 각국의 유리기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시간도 가진다. ‘동북아 출토 고대 유리기’ 시간에는 중국에서 출토된 고대 유리기의 기원과 유통, 일본에서 발견된 고대 유리기에 관해 논의된다. ‘유라시아 출토 고대 유리기’ 시간에는 중앙아시아에서 출토된 고대 유리 연구 현황과 로마시대 이후 잉글랜드에서의 유리 사용에 대한 발표가 진행된다.

종합토론에서는 권오영 서울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조대연(전북대학교), 조윤재(고려대학교), 하승철(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김은아(공주대학교) 등 관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지정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학술 토론회를 통해 가야 유리기의 기원과 유통, 재활용 등 그 실체에 대해 확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키워드
#문화재청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