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오는 20일 ‘가야 유리기(琉璃器) 기원, 유통 그리고 재활용-로만글라스 가야에 묻히다’를 주제로 국제학술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유라시아 각지에서 출토된 고대 유리기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해 가야 유리의 기원과 유입 경로, 그리고 유입 과정 중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는 재활용 가능성을 고고학과 분석과학적 측면에서 확인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4월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서 확인된 고대 유리 용기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했으며, 여러 곳에서 제작된 다양한 로만글라스 제품이 삼국시대 한반도에서 유통됐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특히, 유리기는 실크와 함께 유라시아를 왕래했던 주요 교역품으로, 당시 유라시아의 교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고대 유리기의 연구 현황과 전망’ 시간에는 초원로, 사막로, 해로 등 로만글라스의 다양한 이입 경로를 통해 유라시아사의 변화 이력을 해석해보고, 유라시아 동부로의 유리기의 이입과 배경, 고대 유리 연구방법을 논의하는 ‘고대 유리기의 고고화학적 분석법의 이해’를 주제로 기조 강연이 진행된다.
이어 ‘한반도 출토 고대 유리기’ 시간에는 로만글라스의 본 고장인 지중해 유역의 특징을 토대로 분석한 고대 한반도 유리기의 출토 양상과 그 특징,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출토된 ‘둥근 고리 장식 유리기’의 제작기법을 검증한 한반도 출토 고대 유리기의 과학적 분석 결과 발표가 진행된다.
또한 동북아시아부터 유라시아까지 각국의 유리기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시간도 가진다. ‘동북아 출토 고대 유리기’ 시간에는 중국에서 출토된 고대 유리기의 기원과 유통, 일본에서 발견된 고대 유리기에 관해 논의된다. ‘유라시아 출토 고대 유리기’ 시간에는 중앙아시아에서 출토된 고대 유리 연구 현황과 로마시대 이후 잉글랜드에서의 유리 사용에 대한 발표가 진행된다.
종합토론에서는 권오영 서울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조대연(전북대학교), 조윤재(고려대학교), 하승철(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김은아(공주대학교) 등 관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지정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학술 토론회를 통해 가야 유리기의 기원과 유통, 재활용 등 그 실체에 대해 확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고대 동아시아 금속공예품의 기술과 복원…학술대회·전시
- “어명이오, 첩종을 명하라!”…4년 만에 만나는 궁궐 호위군
- 예술에 헌신한 100년…‘조선 마지막 무동’ 김천흥 자료집 발간
- 광화문 '월대', 100년 만에 복원 완료…'서울시, 15일 공개'
- 무형유산 작품전, 창덕궁 낙선재서 19~22일 개최
- 대한제국의 외교 현장, 덕수궁서 재현된다
-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천연기념물 됐다
- ‘왕의 서재’ 창덕궁 서향각에서 독서 즐겨볼까
- 창경궁서 만나는 동백꽃…27~28일 반려식물 행사
- 문화유산채널, ‘골드버튼’ 받았다…유튜브 구독자 100만 돌파
- ‘어린이 제관’ 되어 조선왕실 제례 체험해볼까
- '6·25 전사자 유품 보존·복원' 논의의 장 열린다
- ‘동명동 성당’, 속초 첫 국가등록문화유산 된다
- “해남 송호해수욕장 고선박, 곡물운반선 추정”
- ‘피란수도 부산’·‘전남 갯벌’,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록
- 해설로 만나는 ‘태조 이야기’…건원릉 능침 특별 개방
- 문화재청, ‘지리산 쌍계사·불일폭포’ 명승 지정 기념행사
- 국가무형유산 ‘대목장’ 전흥수 보유자 별세
- 창덕궁 ‘왕의 숲길 걷기’ 행사…미공개 청심정·빙옥지 개방
- 집중호우에 무너진 창덕궁 인정전 담장 복구…25일부터 공개
- 영국서 만나는 한국 전통문화…‘문화유산 방문 캠페인’ 특별행사
- ‘탄생 100주년’ 발탈·가야금산조 명인, 공연으로 만난다
- 세계유산 남한산성 북문 보수 2년 만에 완료…11월부터 개방
- 세계유산 남한산성 외성 재개방…보수 공사 완료
-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 경진대회’, 총 12팀 수상
-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완성도 검사 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