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의 도서관 이용증으로 전국 책이음 참여도서관 이용 및 도서 대출이 가능한 책이음서비스가 이용 회원 536만 명을 돌파했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은 책이음서비스 14주년을 맞이해 운영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2010년 부산·인천지역 50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2023년 7월 말 기준으로 서울 520개관, 경기 454개관, 경남 276개 관 등 전국 2602개 도서관이 책이음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종별로는 공공도서관 1163개관, 작은도서관 1415개관, 전문도서관 15개관, 초·중·고 도서관 8개관 등이 참여하고 있다.
책이음 회원은 총 536만명으로, 시도별로 부산 103만명, 경기 83만명, 인천 78만명 등의 순서로 가입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0대부터 60대 이상까지 다양한데, 그 중 30대 여성(12.8%)과 40대 남성(10.9%)의 비중이 높았으며, 성별로는 여성(57.2%)이 남성(42.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책이음 회원이 그동안 대출한 건수는 약 2억7500만건으로, 대출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20년은 코로나19 영향으로 2019년 대비 29.5% 감소했으나, 2021년부터 대출 건수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가장 많이 대출한 도서는 손원평 작가의 장편소설인 ‘아몬드’로 약 9만2000회 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마법천자문’, ‘수학도둑’ 등 아동서가 상위 도서 대출 건수의 80%를 차지하였다.
전국의 책이음 참여도서관 2602개관 중 도서 대출 횟수가 가장 많은 도서관은 ‘대구 범어도서관’으로 약 478만건이 대출되었으며, 책이음서비스 전체 대출 건수의 약 1.7%를 차지했다. 또한, 가장 많은 책이음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도서관도 ‘대구 범어도서관’으로 회원수가 약 11만8000명이며, 회원수와 도서 대출 건수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중앙도서관 김경영 정보기술기반과장은 “이번 분석을 통해 책이음서비스 이용현황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책이음서비스를 활성화하고 보급을 확대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향후 현재 공공도서관 및 작은도서관 중심으로 운영되는 책이음서비스를 전문도서관 및 대학도서관 등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 출판인 500명 “예산 삭감 철회하라” 규탄 궐기대회
- 서울역사편찬원, 국립장애인도서관에 오디오북 기증
- 국민은행, 2023 KB창작동화제 시상식 개최 및 창작동화집 발행
- 서울도서관, 우크라이나 도서·전통 공예품 순회 전시
- 국립중앙도서관, 책이음서비스 아이디어·우수사례 공모
- 동대문에 ‘친환경 도서관’ 생긴다…2029년 개관 목표
- 서울역사편찬원, ‘또 다른 서울 사람들’ 발간
- 대본집 즐겨보는 20대…‘헤어질 결심’ 도서관 대출 1위
-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 활용 콘텐츠 제작 공모전 개최
- K-옛이야기, 무대로…국립중앙도서관·국립중앙극장 기획전
- 책 읽는 여름휴가…부산 46개 공공도서관 ‘북캉스’ 캠페인
- 경기도사이버도서관, 휴가철 맞아 전자책 서비스 확대
- ‘해설이 있는 K-컬처’…국립중앙도서관 문화행사
- 한국도서관협회 제31대 회장에 곽승진 충남대 교수 취임
- ‘책읽는 서울광장’, 야간 프로그램 ‘밤의 여행 도서관’ 개장
- 서울시-영풍문고, 독서문화 활성화 위해 맞손
- 서울도서관, 국제도서관협회연맹 ‘친환경 도서관상’ 수상
- 국립중앙도서관, 영국 셰필드대에 한국자료실 개관
- “지난해 공공도서관 방문자 20% ↑…온라인 이용 큰 폭 증가”
- 국내외 유명 작가 한자리에…‘서울국제작가축제’ 9월 개최
- 국립중앙도서관, 내년 예산 951억…디지털 중점 편성
- ‘도서관 혁신 아이디어 공모’ 최우수상에 인천 율목도서관
- 국립중앙도서관 영상콘텐츠 공모전, 강북문화정보도서관 수상
- 구한말 유학자 정제용·정덕영 고문헌, 국립중앙도서관으로
- 국립중앙도서관, ‘광고 통해 보는 韓영화의 발자취’ 전시
- “한글의 아름다움, 세종시립도서관 전시로 즐겨요”
- 나무 주제 책·강좌 만난다…세종 전의나무도서관 개관
- 제60회 전국도서관대회, 제주서 18~20일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