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전통한지 제작에 사용되는 초지법 종류인 흘림뜨기와 가둠뜨기에 대한 현장설명회를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초지법은 한지발을 사용하여 한지를 뜨는 방법으로, 국립산림과학원은 미국에 소장된 전통한지 제작 도구인 ‘발과 발틀’ 분석과 문헌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한지에 가둠뜨기 초지법이 사용된 것을 발굴한 바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현장설명회에서 전통한지의 닥섬유 배열 방향에 관한 연구를 위해 국가무형문화재 한지장 전수자(박재균)의 시연을 통해 흘림뜨기 및 가둠뜨기로 한지를 제작했다. 특히 닥섬유와 검정색 명주실 등을 섞어 제작해 육안으로도 쉽게 섬유 배열 방향을 구별할 수 있게 했다.
이번에 제작한 전통한지와 녹색 실무늬가 있는 ‘태지’ 유물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해 섬유 배열 방향으로 우리나라의 전통 가둠뜨기 초지법 사용에 대해 구명할 예정이다.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서정원 소장은 “이번 흘림뜨기 및 가둠뜨기 초지법으로 제작한 전통한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닥섬유 배열 방향성을 구명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우리나라 전통 초지법과 제작 공정 관련 연구를 지속해서 수행하겠다”라고 말했다.
키워드
#산림청
관련기사
- 올 여름 국립자연휴양림 예약 1위는? 최고 경쟁률 381대 1
- “정원으로 휴가 오세요” 산림청, 전국 ‘정원 지도’ 배포
- 국립수목원, 14개 기관과 DMZ 생물다양성 보전 업무협약
- 지리산 모티브 ‘한국정원’, 영국 첼시 플라워쇼 금상 수상
- “전국 100대 명품숲, 국민이 추천해 주세요“
- 강화 ‘화개정원’, 13일 개원…축구장 20개 규모
- 국립수목원, 어린이날 기념 ‘곤충학자 다이어리’ 특별전시
- 산림청, 문학인과 함께하는 나무 심기 행사 개최
- 산림레포츠, 레일바이크·서바이벌 게임 만족도 높아
- 산림청-유엔환경계획, 산림협력 양해각서 체결
- 내가 발견한 ‘걷기 좋은 명품숲길’은 어디?
- ‘임도’의 새 이름을 지어주세요
- 산촌 활성화 방안은?…국립산림과학원 릴레이 세미나
- “창경궁 숲의 경제적 가치, 2억4800만원”
-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재활원과 MOU 체결
- 국립문화재연구원, 국가유산 학술지 ‘문화재’ 100호 발간
- 문화재청, 국가유산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 아이디어 공모
- 국립수목원, 국내 나리난초 3종 실체·분포 밝혀
- 해양문화재연구소, 삼국시대 유물 나온 태안 마도 추가 발굴
- 가평 연인산 계곡길, ‘걷기 좋은 명품숲길’ 1위
- 무궁화 축제 보러오세요…순천만국가정원에 700점 전시
- 가평 ‘타샤의 정원 251’, 경기도 민간정원 제2호 등록

